제목 | [산업분석] 25년 위성통신 기술의 현황과 차세대 6G 네트워크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44 | |
---|---|---|---|---|---|---|
용량 | 1.02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0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0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5 |
I. 서론
위성통신 기술은 차세대 6G 네트워크에서 주요 목표인 초고속, 글로벌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1].
특히, 저궤도 대규모 통신 위성군(satellite constellation)의 활용이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위성통신 기술은 소규모의 정지궤도, 중궤도 위성을 활용하는 방식에서 스타링크(Starlink), 원웹(OneWeb)과 같이
대규모의 저궤도 위성군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위성은 우주 공간에서 정해진 궤도를 실시간으로 공전하기에 기존 지상망 통신 기술과는 다르게 전력 소비와 실시간 위상 변화 등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빠르게 공전하는 저궤도 대규모 위성군에서는 더욱 제한적인 통신 환경을 가진다.
II. 위성 간 통신 링크 기술
기존의 위성통신 기술은 주로 위성과 지상국과의 안정적인 통신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위성 간 통신 기술을 활용하면 [그림 1]과 같이 위성들 사이의 통신을 통해 국지적으로 통신 환경이 불리한 곳을 회피하거나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와의 안정적인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위성 간 통신 기술을 이해하기 위해 통신 기술의 입장에서 위성 궤도와 위성군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위성 간 통신 링크에서 사용하는 전송 기술과 위상 설계 기술을 소개한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