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유럽연합의 청전산업딜 추진 배경과 개요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39 | |
---|---|---|---|---|---|---|
용량 | 1.3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20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2 |
청정산업딜 추진 배경
□ EU는 폰데어라이엔 1기 정책의 핵심 이니셔티브인 그린딜의 지속 추진과 함께 산업 경쟁력도 동시에 확보해야 하는 상황
○ 폰데어라이엔 1기에 그린딜 관련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역내 비즈니스 환경이 악화*되자 역내 산업계는 집행위에 규제 완화를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동시에 강력한 산업정책 시행을 요청**
* (EU집행위 Annual Burden Survey 2022) 타 이니셔티브와 달리 그린딜 정책 추진에 따른 역내 행정적 비용은 19.6억 유로 순증
** (앤트워프 성명, ‘24.2월) 유럽 산업계, 차기 EU집행위에 역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강력한 산업 정책 도입 촉구
○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은 역내 의견을 반영해 지난 7월 집행위원장 인선 투표 전 연설 시, 취임 100일 이내에 역내 산업의
탈탄소화 촉진과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청정산업딜을 제안하겠다고 선언1)한 바 있음
□ EU는 역내 산업 경쟁력 저하, 저성장 경제구조,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복합적 위기 타개가 시급
○ 최근 EU는 주요국과의 기술 경쟁 심화, 러우 전쟁 이후 높은 에너지 가격, 역외 과도한 보조금으로 조성되는 불공정경쟁 환경,
역내 공급망 약화 등으로 인해 산업 경쟁력 약화와 경제성장에 대한 우려가 심화 중
‒ 특히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등 자국 내로 공급망을 유치하려는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EU 또한 역내 산업 부흥을 위한 산업 정책이 절실한 상황
○ EU는 그린딜 실현의 방법으로 폰데어라이엔 1기 시절처럼 규제를 강화하기 보다는 역내 청정 산업을 육성하는 방향으로
정책적 노선을 수정
‒ 청정 전환을 촉진하는 관련 산업 기술 개발과 생산역량 확대를 통해 EU 경쟁력 회복, 산업 부흥 및 일자리 창출 유도
○ EU 산업계(철강, 풍력, 에너지, 화학 등)는 EU 집행위에 서한을 발송하여 공정 경쟁환경 조성, 청정에너지 접근성 보장, 청정제품에
대한 시장 수요 창출, 장기적 투자 방안 마련 등을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수립할 것을 요청2)
(2) 「청정산업딜」주요 내용
적정가격 에너지 접근성 강화(Access to affordable energy)
□ EU 에너지 가격 상승 및 변동성 확대 주요 요인
○ EU는 수입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아 에너지 가격 상승과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작용
- EU의 화석연료 에너지 수입비용은 ‘20년 1,630억 유로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나 러우 전쟁으로 인해 천연가스 가격이
급상승하며 ‘22년 수입비용은 ‘20년 대비 270.5% 상승한 6,040억 유로 기록
- EU 평균 에너지믹스(발전원 조합) 중 화석연료에 대한 비중은 28.9%(’25년 1월 기준)를 차지하고 있으며, 운송연료 대부분이
석유제품으로 화석 연료 수입 비용이 소비자 에너지 요금 수준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