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국내, 사회구조 및 인구 변화에 따른 자동차 시장의 변화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48 | |
---|---|---|---|---|---|---|
용량 | 907.56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07.56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1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6 |
우리나라 자동차 등록대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증가율은 둔화하고 있음
∙ 경제성장 및 소득수준 증가 등에 힘입어 국내 자동차(관용·영업용 포함) 등록대수는 빠른 속도로 증가해 왔으나,
고령화 및 인구구조 변화, 경제성장률 하락 등의 영향으로 인해 성장 동력은 약화 추세
* 자동차 등록대수 전년比 증가율 : `90년 27.6% → `00년 8.0% → `10년 3.6% → `20년 2.9% →`24년 1.3%
- 최근 10년간 추이를 살펴보면 자동차 등록대수 성장률은 `15년 정점(4.3%) 이후 감소 추세이며, `24년말
기준 총 등록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약 26.3백만대를 기록
- 과거에는 활발한 경제활동을 바탕으로 주요 소비층인 30~50대 인구비중이 증가해 왔으며, 경제성장에 따른 차량 소유·운행
성향도 함께 향상되면서 자동차 등록대수가 빠르게 증가해 왔음
* 30~50대 인구 비중 : `90년 36.0% → `00년 42.2% → `10년 47.6% → `20년 46.3% →`24년 45.4%
- 그러나 최근 고령화의 가속화가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및 잠재성장률의 하락 등으로 이어지며, 장기적으로 자동차 등록대수가
순감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음
* Oh et al.(2023)에 따르면 국내 승용차 등록대수는 `20년부터 연평균 0.9% 증가하여 `40년 정점에 도달한 이후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
» 인구구조 변화 및 차량 보유·운행에 대한 성향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연령대별로 자동차 등록대수에 차별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주 수요자가 고령화되는 추세
∙ 생산가능인구 중 핵심층인 30~40대의 총 자동차 등록대수는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인해 답보 또는 다소 감소하고 있으며,
개인별 차량 보유율의 증가도 타 연령대에 비해 더딤
- 30~40대의 1인당 등록대수는 증가 추세로 차량 보유 의사는 어느정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나, 인구 감소의 영향이
그보다 크게 작용하여 총 자동차 등록대수가 답보 또는 감소 추세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