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5년 유럽연합의 전력 생산 현황과 에너지 정책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9
용량 1.4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5년 유럽연합의 전력 생산 현황과 에너지 정책 현황.pdf 1.4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3-1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EU 구성 및 천연가스 수입 현황

 

□ EU는 ‘19년부터 그린딜을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며 신재생에너지원을 사용한 발전량을 높이고, 화석원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옴
 

○ ‘24년 EU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1,307TWh(49.1%)를 차지, 이는 ‘19년 986TWh(35.5%) 대비 13.6%p 증가한 수치
 

‒ 반면 화석에너지** 발전량은 705TWh(26.5%)를 차지, 이는 ‘19년 1,025TWh(37.0%) 대비 10.5%p 낮아져

   집계 이래 최저 비중을 기록


*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 지열, 파력 등 ** 석유, 석탄, 가스(PNG, LNG) 등
 

‒ 이 중, 가스를 사용한 발전량은 430TWh(16.2%)로 ‘19년 568TWh(20.5%) 대비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음
 

‒ 원자력에너지 발전량은 648TWh(24.4%)로 ‘19년 765TWh(27.6%) 대비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중요 전력 생산 에너지원임

 

□ EU 전력 공급을 위해 천연가스수입원 다각화추진중


○ EU는 주로 러시아, 노르웨이, 알제리 등으로부터 천연가스(PNG, LNG)*를 수입해 왔으나

    러우 전쟁(‘22.2.24) 이후 노르웨이, 미국으로부터의 가스 수입량이 대폭 증가

 

‒ ‘21년, ‘22년 EU 총 가스 수입량은 각각 3,613억m³(입방미터), 3,624억m³로 큰 변동이 없었으나,

   ‘23년 3,163억m³, ‘24년 2,979억m³를 수입하여 감소세를 보이고 있음


‒ 전쟁 전 해인 ‘21년 러시아산 가스 수입량은 1,570억m³(43.5%)에 달했으나 ‘24년 545억m³(18.3%)까지 감소

 

‒ 반면 ‘21년 노르웨이산과 미국산 가스 수입량은 각각 864억m³(23.9%), 210억m³(5.8%)였으나,

   ‘24년 각각 990억m³(33.2%), 513억m³(17.2%)까지 증가

 

□ EU와 미국간 가스가격 격차 확대


○ ‘25년 3월 7일 기준, 유럽 천연가스 가격은 미국 대비 2.9배 이상으로 EU의 에너지 비용 부담은 여전히 높은 편임

 

‒ 4월 인도분 기준 유럽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12.7달러/MBtu로 전년 동기(8.5달러/MBtu) 대비 1.5배가량 상승한 반면,

   4월 인도분 기준 미국 천연가스 선물가격은 4.4달러/MBtu로 지난 1년간 안정적으로 가격 유지

 

 

 

 

 

 

 

 

 

 

---------------------------------------------------------------------------------------------------------------------------------------------------------

 

 

 

 

 

 

 

 

 

 

 

에너지.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유럽연합의 전력 생산 현황과 에너지 정책 현황 3도토리 이지훈
82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U연합 특허제도의 변화에 따른 대응방법 13도토리 이지훈
82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관련 발명의 정의 및 특허 조건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82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 관세 부과 정책의 예상 부작용 분석 3도토리 이지훈
8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른, 정책 결정 지원 모델의 개발 현황 13도토리 이지훈
82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중국 정부의 수출입 무역 현황 및 평가 5도토리 이지훈
82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상표 빅데이터 사업 및 디지털 크리에이터 산업 동향 및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82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중국 산업용 로봇 정책의 현황과 수익성 현황 5도토리 노민우
82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주일 기업들의 환경 및 비즈니스 실태 현황 분석 5도토리 국준아
8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인공지능 시장 현황 및 주요 이슈 현황 13도토리 국준아
82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시스템 반도체의 산업 및 기술 현황 분석 11도토리 국준아
82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 전력망 산업의 개요와 한국 기업의 산업 진출 방안 11도토리 국준아
82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메모리 반도체 특허 및 기술 현황 분석 11도토리 국준아
82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이버 보안 기술 및 산업현황 11도토리 국준아
82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건물형 태양광 산업 현황 및 기술성 분석 11도토리 국준아
82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새로운 유럽연합 위원회의 정책 방향 분석 9도토리 국준아
82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통상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82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디지털 권리와 인공지능 공존을 위한 방안 및 정책 현황 11도토리 국준아
82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5년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 방안과 산업화 현황 13도토리 국준아
82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트럼프 정부 출범 후 UAE의 현황 및 전망 5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