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미국, 관세 부과 정책의 예상 부작용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48 | |
---|---|---|---|---|---|---|
용량 | 282.66K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82.66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12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4 |
상호관세 추진 배경 및 시행 가능성
□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의 무역적자를 거론하며 불균형한 통상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호관세 도입을 추진 중
ㅇ 주요 교역국이 미국산에 부과하는 관세율과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해당 국가의 수입품에 차등 적용함으로써
무역적자 해소 및 무역 공정성 확보를 핵심 목표로 내세우고 있음
ㅇ 하지만 상호관세 정책은 동맹국을 포함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설정하고 있어 광범위한 통상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됨
- 2/13(목) 트럼프는 러트닉 상무장관 및 그리어 USTR 대표에게 상호관세 도입 전, 美 교역국의 관세 및 비관세 장벽 조사를 지시
- 3/4(화) 트럼프는 임기 첫 합동의회 연설 중 상호관세 발효 시점으로4/2(수)을 재차언급
상호관세 도입에 따른 주요 부작용
□ 상호관세가 실제 시행시 개별품목에 대한 국가별 관세율을 반영해야하는 전례없는 수준의 행정적 부담이 발생할 전망
ㅇ현재 미국의 조화관세표(Harmonized Tariff Schdule of the United States: 이하 HTSUS)는 모든 수입품목을
HS코드 10자리로 식별하며, 각 관세율은 3개열(Column)로 분류됨
① 일반관세(Column 1 General) :WTO 회원국 대상 MFN 관세율
② 특혜관세(Column 1Special) :FTA 및 개도국 특혜 등 협정상 인하된 관세율
③ 차별관세(Column 2): 북한, 쿠바 등 ⾮ WTO 국가 대상 차별관세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