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미국, 통상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50 | |
---|---|---|---|---|---|---|
용량 | 261.5K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61.5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1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4 |
2025 통상정책의제 주요 내용
□ 미국의 ‘위대한 세기’ 도래를 위해 강력한 통상정책 추진을 제시
○ 통상정책 재검토 지시*, 232조 관세(철강·알루미늄), 캐나다·멕시코·중국 대상 관세 등 개별조치를 포괄하는
트럼프 2기의 통상정책 방향이 제시됨
□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 실현 위한 핵심 과제로 제조업 중심의 ‘생산 중심 경제’ 달성 제시
○ 현재 미국은 제조업 일자리 감소, 무역적자 심화, 공급망 취약 등으로 국가안보를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
○ ①제조업 비중 증대, ②실질 중위소득 증대, ③무역적자 축소를 도모하는 통상정책을 통해
‘생산 중심 경제(Production Economy)' 달성을 목표로 제시
- 생산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통해 고임금 일자리 창출 · 혁신 촉진 · 방위산업 기반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언급
○ 미국의 주도권 회복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시한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America First Trade Policy)’
메모랜덤(’25.1.20.)의 시행 의지를 재확인
- (USMCA) ’26.7월 예정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재검토를 위한 의견수렴 절차 개시
- (對중국 무역관계 재검토) 1단계 무역합의 및 ‘항구적 정상무역관계(PNTR)’ 지위 검토
□ 트럼프 1기 통상정책 성과를 바탕으로 2기 통상정책 추진 천명
○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타결('18.9.), ▲미·일 디지털 무역협정(’19.10.) 체결, ▲미·중 1단계 무역합의('20.1.), ▲WTO에서의 비시장적 정책 문제 제기 등을 트럼프 1기 통상정책의 성과로 제시
○ 이와 같은 성과는 초당적 지지를 받아 바이든 정부에서도 유지·확장되었다고 언급하고, 트럼프 2기 통상정책도 이를 바탕으로
추진될 것임을 명시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