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 방안과 산업화 현황 |
---|
분류 | 생명공학/바이오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51 | |
---|---|---|---|---|---|---|
용량 | 9.45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45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1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410 |
1.1. 연구 필요성
최근 기후변화, 자원 고갈, 식량 위기 등 글로벌 난제 해결의 돌파구로서 바이오 경제 체제 전환은 국제사회에서 대세적 흐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미국은 향후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가 경제의 핵심 요소로서 탄소중립, 일자리 창출, 국가 안보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National Biotechnology and Biomanufacturing Initiative)’의 행정명령을 발표하였다.
이의 후속 조치로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관련
범분야적 발전(Cross-cutting advance)을 위한 R&D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1. 그린바이오 산업의 개념 고찰
이 부분에서는 국내외 그린바이오 산업 현황과 정책 동향을 살펴보기에 앞서, 산·학·관 등에서 그린바이오 산업의 정의와 범주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기초해 이 연구의 분석 대상 분야인 종자와 마이크로바이옴산 업의 정의와 범주를 구체화하고자 한다.
큰 틀에서 보면, 그린바이오 산업은 레드바이오, 화이트바이오와 더불어 바이오산업의 한 축을 이룬다.
이에 따라 바이오산업의 정의와 분류체계에서 그린바이오 산업이 산업적 측면에서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어떻게 분류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렇게 함으로써 바이오산업에 대한 전반의 이해와 함께 본 연구에서 다룰 그린바이오 종자·마이크로바이옴산업의 성격을
바이오산업 관점에서 명시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장에서 다룰 정부의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 (2023)에서의
유망 분야(종자, 동물용 의약품,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곤충, 천연물, 식품소재) 설정에 대한 이해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