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업분석] 삼성전자 IT Set 실판매 강도에 주목 필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12
용량 808.7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업분석] 삼성전자 IT Set 실판매 강도에 주목 필요.pdf 808.7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8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94,000 원으로 상향 삼성전자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고, 동사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의 49.4 조원에서 59.6 조원으로 상향함에 따라 목표주가 역시 기존의 89,000 원에서 94,000 원으로 조정한다. 신규 목표주가는 동사 올해 예상 BPS 48,356 원에 지난 3 년간 연간 고점 배수들의 평균인 1.94 배를 적용하여 도출한 것이며, 올해 예상 SPS 에 비해서도 지난 3 년간 연간 고점 P/S 배수들의 평균인 2.1 배에 해당한다. 4Q21 실제 영업이익은 14.8 조원인 듯 삼성전자는 4Q21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76.0 조원과 13.8 조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발표하였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 대비 매출은 0.6 조원 상회한 것이나 영업이익은 1.3 조원 하회한 것이다. 단 동사가 이미 발표한 바 있는 임직원에 대한 코로나 격려금이 약 1 조원으로 추정되므로, 일회성 비용을 제외한 4Q21 실제 영업이익 규모는 14.8 조원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동사 주요 사업 부문별 4Q21 실제 영업이익 추정치와 직원수를 감안하여 도출한 격려금 제외 영업이익은, 각각 반도체 9.2 조원 -> 8.9 조원, DP 1.5 조원 -> 1.3 조원, IM 3.1 조원 -> 2.8 조원, CE (하만 포함) 1.0 조원 -> 0.8 조원일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 영업이익 기준으로 IM, CE, DP 부문에서는 기존 예상에 부합하는 실적이 나온 반면, 반도체 부문 실적은 시장 전망치를 다소 하회한 것으로 판단된다. 1Q22 및 FY22 영업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 최근 현물가격의 반등과 시안 Lock-down 에 따른 공급 차질 우려에 따라, 1Q22 DRAM, NAND Blended ASP 하락폭이 당초 예상치보다 작은 한자리수대 중반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당사는 이를 반영하여 동사 1Q22 및 FY22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의 13.5 조원과 49.4 조원에서 13.9 조원과 59.6 조원으로 상향하였다. 1Q22 에는 DRAM, NAND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유지하거나 소폭 증가하는 가운데 ASP 가 한자리수 대 중반 하락해 반도체 부문 이익이 전분기 대비 8% 감소하는 8.2 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DP 부문에서도 최대 고객사향 출하 감소에 따라 0.7 조원으로 영업이익이 축소될 전망이다. 반면 IM 부문에서는 전분기 대비 스마트폰 출하량이 14% 증가하고 고가폰 비중 증가에 따른 ASP 상승에 따라 영업이익이 4.1 조원으로 4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연말, 연초 IT Set 실판매 강도가 2 월 이후 반도체 업황 및 주가에 중요 4Q21 IT 산업 내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3Q21 말까지 부진했던 PC, 스마트폰의 출하가 시장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88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미포조선 통상임금 충당금 반영은 2022년 성장폭 증가를 의미 1도토리 조정희
187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IG넥스원 수주 확대에 따른 중장기 성장성 부각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7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화승엔터프라이즈 4Q 실적은 물류망 회복 지연으로 컨센서스 하회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비재 - 비대면 업무 환경 보편화, 협업툴 시장 성장 기대된다 1도토리 조정희
187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인카금융서비스 O PM 의 레버리지 효과가 매력적 인 GA 1도토리 조정희
187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대우건설 안정적인 성장이 그려진다 1도토리 조정희
187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기아 송구영신 1도토리 조정희
187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GS건설 이익 체력을 제대로 확인해볼 시점 1도토리 조정희
187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효성티앤씨 닝샤 스판덱스 플랜트, 본격 가동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87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코오롱인더 성과급 등 일회성 비용 발생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이커머스 사업모델 집중분석 7도토리 조정희
186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스튜디오드래곤 성장성 의심은 기우 1도토리 조정희
186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셀트리온헬스케어 4분기 렉키로나 공급으로 상회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6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NEW 실적부진은 2021년으로 안녕 1도토리 조정희
186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액트로 2022 년 매출 성장률 76% 1도토리 조정희
1865 성장동력산업 주식시장 투자전략 1분기 ELS 조기상환 실패 감소 전망(요약) 1도토리 조정희
1864 성장동력산업 1분기 ELS 조기상환 실패 감소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6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X세미콘 '22 년 높아진 이익체력 유지 가능 1도토리 조정희
186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진 외형은 성장, 수익성 하락 1도토리 조정희
186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나금융지주 4분기 순이익은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