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5년 트럼프 정부 출범 후 UAE의 현황 및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56
용량 67.62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5년 트럼프 정부 출범 후 UAE의 현황 및 전망.pdf 67.6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3-0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UAE에 미치는 영향

UAE의 향후 미래 전망과 우리기업의 UAE 진출 관련 시사점 분석

 

트럼프 4년, UAE의 경제 전망과 시사점

 

“Make America Great Again” 구호가 미국에서 다시 시작되었다. 트럼프 행정부 재출범으로 인해 미국의 대외정책은 미국중심으로 다시 변화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정치 및 경제 질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UAE의 경제 전망과 UAE 진출 관련 시사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주요 변수 및 전망

 

1) 에너지 및 원유시장의 변동과 UAE의 산업 다변화

 

트럼프 행정부는 전통적으로 화석연료 부문을 강조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석유 및 천연가스 시추를 전면 확대하겠다고 밝힐 정도로 미국의 에너지 패권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는 미국 내 생산 확대와 에너지 안보를 우선시하는 것으로, 글로벌 원유 수요 및 가격 변동성이 심화되는 요인이다. 이를 통해 UAE의 석유수출 수익이 단기적 압박 요인이 될 수 있으나, 최근 UAE는 이미 경제 다각화를 추진 중이므로 장기적 영향은 상쇄될 것으로 보인다. UAE는 최근 석유 없는 미래 대비를 위해 산업 다각화를 추진중이며, UAE 2050 에너지 전략을 통해 2050년까지 청정에너지 비중을 5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19.8 GW로 청정 에너지 설치 용량을 늘려 청정에너지 비율을 30%로 증가시키고, 5만 개의 녹색 일자리를 창출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세계 최대 태양광 발전소 중 하나인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MBR)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를 통해서 태양광 발전 역량을 확대하고, 에너지 효율 프로그램 시행 및 청정에너지 기술과 에너지 저장 솔루션의 연구 개발을 촉진하고자 한다.

 

2) 미국의 대 중동 관계 강화

 

트럼프 재선은 미국의 중동 내 동맹 강화, 특히 이스라엘 및 UAE와의 관계 지속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UAE는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외교적 입지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투자 유치 및 금융 허브의 역할이 강화될 전망이다. 과거 2020년 UAE는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완전 정상화하는 아브라함 협정(Abraham Accords)을 맺은 바가 있으며, 이는 바레인, 수단, 모로코 등 주변 MENA 국가들도 동참한 협정이다. 이를 통해 2021년, 이스라엘과 UAE의 교역은 양국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체결에 이어 전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항공우주, ICT, 보건의료 등에 대한 직접투자도 증가하였고, 스마트 농업과 방산 등 UAE가 석유산업 다각화로 집중하는 분야에 대한 MOU 및 주요 기관간 교류도 확대되었다. 당시 UAE의 에너지 다각화에 큰 영향을 끼쳤던 아브라함 협정이 미국의 이스라엘-사우디아라비아의 관계정상화 기조에 힘입어 2025년 사우디아라비아도 아브라함 협정에 동참하게 된다면, 이는 현재 중동의 물류, 금융 거점의 역할을 하는 UAE의 기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

 

 

 

 

 

 

 

 

 

 

 

에너지.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2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유럽연합의 전력 생산 현황과 에너지 정책 현황 3도토리 이지훈
82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U연합 특허제도의 변화에 따른 대응방법 13도토리 이지훈
82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관련 발명의 정의 및 특허 조건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82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 관세 부과 정책의 예상 부작용 분석 3도토리 이지훈
8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른, 정책 결정 지원 모델의 개발 현황 13도토리 이지훈
82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중국 정부의 수출입 무역 현황 및 평가 5도토리 이지훈
82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상표 빅데이터 사업 및 디지털 크리에이터 산업 동향 및 분석 13도토리 노민우
82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중국 산업용 로봇 정책의 현황과 수익성 현황 5도토리 노민우
82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주일 기업들의 환경 및 비즈니스 실태 현황 분석 5도토리 국준아
8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인공지능 시장 현황 및 주요 이슈 현황 13도토리 국준아
82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시스템 반도체의 산업 및 기술 현황 분석 11도토리 국준아
82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 전력망 산업의 개요와 한국 기업의 산업 진출 방안 11도토리 국준아
82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메모리 반도체 특허 및 기술 현황 분석 11도토리 국준아
82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이버 보안 기술 및 산업현황 11도토리 국준아
82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건물형 태양광 산업 현황 및 기술성 분석 11도토리 국준아
82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새로운 유럽연합 위원회의 정책 방향 분석 9도토리 국준아
82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통상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82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디지털 권리와 인공지능 공존을 위한 방안 및 정책 현황 11도토리 국준아
824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5년 그린바이오 산업의 성장 방안과 산업화 현황 13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트럼프 정부 출범 후 UAE의 현황 및 전망 5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