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양자컴퓨터 산업현황 및 활동 분야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59 | |
---|---|---|---|---|---|---|
용량 | 2.24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2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3-10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4 |
• 양자컴퓨터(Quantum Computer)는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다수의 정보를 동시에 연산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초고속 대용량 컴퓨팅 기술을 말하며, CES 2025에서 인공지능(AI) 다음으로 주목해야할 기술로 부각되었음.
• 1925년 독일 물리학자인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양자역학의 기초를 정립한 지 100년이 되는 올해는 UN이 정한
‘세계양자과학 및 기술의 해’로,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AI 이상의 파급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이에 양자컴퓨터 개념 및
원리, 글로벌 양자산업 현황, 주요국의 양자컴퓨터 관련 정책 및 활용 분야 등에 대해 살펴봄.
양자컴퓨터 관련 국가별 기술수준
• 우리나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양자컴퓨터 분야의 글로벌 기술수준을 조사한 결과,
미국을 100으로 했을 때, 한국은 2.3으로, 중국 (35), 독일(28.6), 일본(24.5)과 비교해도 기술격차가 확연히 드러남
.
• 한국의 2023년 양자 기술 예산은 953억 원에 불과하며, 이는 미국 양자 기술 예산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못 하는 수준임.
• 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McKinsey)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이 양자기술 관련 특허의 약 50%를 출원했음.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