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열린 금리와 그 커브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1
용량 740.2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열린 금리와 그 커브.pdf 740.2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8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정상화 기대로 시중금리가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다른 나라들에 비해 먼저 기준금리를 인상했던 한국의 경우 2021년 마지막 두달 동안에 걸친 금리 급등 후 되돌림을 마무리하는 것과 동시에 새해부터는 다시 금리가 상승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통화정책 정상화와 관련해 서서히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는 사실이 시중금 리의 방향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중앙은행들의 공격적인 돈풀기 국면이 마무리되고 결국 ‘정상화 = 금리 상승’이라는 등식이 성립 할 것이란 인식이 공감대를 형성했다. 반면 경제 펀더멘덜은 통화정책 정상화라는 쟁점으로 인해 시중금리에 미치는 영향 력 자체가 크게 약화됐다. 지난해 높은 성장률 이후 올해는 경기 모멘텀이 약화될 것으로 보이나 정책 정상화(normalization)라는 헤드라인의 무게감으로 인해 금리 에 미치는 파장 자체가 크지 않다. 다만 경기 모멘텀이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로 인 해 시중금리가 상승하는 폭과 속도는 제한적이다. 가파르고 급격한 금리 상승보다는 일정한 박스권 내에서 질서정연한 반등을 예상한다 연준(Fed)은 12월 FOMC를 통해 향후 테이퍼링(tapering) 속도를 기존의 2배로 가속화하는 것을 공식화했다. 동시에 내년도 기준금리 인상의 개시 시점은 앞당겨지 고 인상 횟수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당연히 시중금리 상승 재료다.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는 높은 물가 상황과 그간 연준의 물가 인식을 대변하는 어휘인 ‘일시적(transitory)’이 성명서 문구에서 삭제됨에 따라 기존과 달라진 정책 접근과 속도에 대한 기대가 부각됐다. Fed는 실제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규모를 월간으로 TB와 MBS를 각각 200억달 러, 100억달러씩 매입을 축소하는 것으로 제시해 기존 테이퍼링의 규모를 2배로 늘 렸다. 연준은 코로나 이후 매월 1,200억달러(TB 800억달러, MBS 400억달러) 상당 의 채권을 매입했으며, 11월과 12월에 매입 규모를 TB 100억달러, MBS 50억달러 씩 축소했다. 따라서 이번에 제시된 규모가 변화없이 유지될 경우 테이퍼링은 내년 3월에 마무리된다.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해서는 종전보다 인상 개시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시사됐 다. 역시 채권시장에는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는 재료들이다. 12월 점도표를 통해 연 준 위원들은 2022년에 평균적으로 기준금리 3회 인상을 예상했다. 앞서 3개월 전 인 9월의 경우 연준 위원들은 내년 기준금리 1회 인상을 시사한 바 있다. 12월 FOMC를 통해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가 종전보다 한단계 더 매파적으로 선회 했다. 반면 이번에 앞당겨진 기준금리 인상 시점은 추후 진행될 통화정책 일정에 대 한 부담을 오히려 완화할 수 있어 금리 상승 폭을 제한할 수 있다는 견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88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미포조선 통상임금 충당금 반영은 2022년 성장폭 증가를 의미 1도토리 조정희
187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IG넥스원 수주 확대에 따른 중장기 성장성 부각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7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화승엔터프라이즈 4Q 실적은 물류망 회복 지연으로 컨센서스 하회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비재 - 비대면 업무 환경 보편화, 협업툴 시장 성장 기대된다 1도토리 조정희
187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인카금융서비스 O PM 의 레버리지 효과가 매력적 인 GA 1도토리 조정희
187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대우건설 안정적인 성장이 그려진다 1도토리 조정희
187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기아 송구영신 1도토리 조정희
187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GS건설 이익 체력을 제대로 확인해볼 시점 1도토리 조정희
187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효성티앤씨 닝샤 스판덱스 플랜트, 본격 가동 개시 1도토리 조정희
187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코오롱인더 성과급 등 일회성 비용 발생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이커머스 사업모델 집중분석 7도토리 조정희
186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스튜디오드래곤 성장성 의심은 기우 1도토리 조정희
186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셀트리온헬스케어 4분기 렉키로나 공급으로 상회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6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NEW 실적부진은 2021년으로 안녕 1도토리 조정희
186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액트로 2022 년 매출 성장률 76% 1도토리 조정희
1865 성장동력산업 주식시장 투자전략 1분기 ELS 조기상환 실패 감소 전망(요약) 1도토리 조정희
1864 성장동력산업 1분기 ELS 조기상환 실패 감소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6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X세미콘 '22 년 높아진 이익체력 유지 가능 1도토리 조정희
186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진 외형은 성장, 수익성 하락 1도토리 조정희
186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나금융지주 4분기 순이익은 컨센서스를 상회할 전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