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Daily Forex Live 강달러 압력 둔화, 저항선 돌파에 실패한 롱스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4
용량 700.0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Daily Forex Live 강달러 압력 둔화, 저항선 돌파에 실패한 롱스탑.pdf 700.0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7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금일 전망: 역외 롱스탑과 증시 외국인 순매수 연장에 하락 예상 상승요인: 1,200원 아래에서 결제를 비롯한 저가매수 유입, 숏플레이 제한 하락요인: 강달러 진정, 역외 롱스탑과 국내증시 외국인 자금 유입 확대 오늘 달러/원은 강달러 압력 둔화에 따른 역내외 롱스탑, 국내증시 외국인 자금 매수세 연장 등 호재를 반영해 하락 예상. 미국 고용지표는 내용 면에서 연준 3 월 인상을 지지하기에 충분하단 평가를 받았지만 외환시장에서 주요국 선제적 인 상과 긴축 동참 기대가 캐나다 달러, 유로화 강세를 유발하며 달러 강세를 진정. 지난 5거래일 동안 1조원 가까이 순매수를 기록한 외국인 원화자산 리스크 온 연장도 달러/원 하락에 우호적인 요인. 또한 지난 주 1,205원 전후 저항선 돌파 에 실패한 역외 롱플레이가 달러 약세 전환을 쫓아 롱스탑으로 유입될 수 있다는 점 역시 오늘 환율 하락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일조할 듯. 다만 수입 결제를 비롯한 저가매수가 대기하고 있다는 점, 추세적인 달러 약세 전환 재료가 부재하다는 점은 하방을 경직. 1,200원 대에선 네고가 수급 주도권을 쥐고 있었지만 1,190원 후반부터는 환율 상승을 걱정하는 수입업체와 실수요 물량이 유 입될 공산이 크다는 판단. 주말간 달러 강세가 진정되긴 했지만 연준 조기 금리인상 에 대한 경계 심리가 유효하기 때문에 롱스탑을 넘어서 공격적인 숏플레이를 기대 하기 어렵다는 점도 낙폭을 제한. 따라서 오늘 하락 출발한 뒤 증시 외국인 순매수, 역외 롱스탑 유입에 하락압력이 우위를 보이며 1,190원 후반 중심 등락 전망. 전일 동향: 상승 출발 후 연초 수출네고 우위에 밀려 강보합 마감 전일 달러/원은 1,201.5(+0.5)원. 1,204.2원에 상승 출발한 환율은 당국 경계 속 수출업체 네고 유입에 상승폭을 반납. 이후 1,200원 초반에서 역외 매수와 역내 매도가 공방을 벌였으나 증시 외국인 자금 순매수까지 더해지면서 장 초반 상승 을 대부분 반납하며 장을 마감. 글로벌 동향: 달러화, 고용 질적 개선에도 캐나다 달러에 밀려 하락 달러지수: 95.734(-0.539), 유로/달러 1.1362(+0.0071), 달러/엔 115.56(-0.34) 달러화는 고용지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도 캐나다 달러 강세 연장에 하락 마감. 미국 12월 비농업 신규 고용은 19.9만명 증가에 그치며 예상(+45.0만명)을 대폭 하회. 다만 10월, 11월 신규 고용이 상향 조정됐고 실업률은 4.2%에서 3.9%로 하락. 임금상승률은 전년대비 4.7% 증가로 컨센서스(+4.2%)를 상회. 한편 캐나다 달러는 고용지표 양적 개선 서프라이즈에 큰 폭으로 상승하며 외환 시장 달러 약세 분위기를 주도. 12월 캐나다 신규 고용은 약 5.5만명 증가하며 예상(+2.5만명)을 두 배 상회. 특히 정규직 고용이 12.3만명 증가하면서 캐나다 경기 회복 낙관론과 BOC 선제적 기준금리 인상 시나리오를 지지. 유로화도 ECB 통화정책 긴축 행렬 동참 기대에 상승. 12월 유로존 CPI는 전년대비 5.0% 상승. 최근 일부 ECB 위원이 인플레 압력이 지속될 경우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던 만큼 시장은 ECB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 진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84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NAVER 성장률 둔화, 쉬어가는 시기 1도토리 조정희
183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엠로 우상향은 지속될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838 성장동력산업 Macro Review 12월 미국 고용: 일자리로 돌아오고 있는 사람들 1도토리 조정희
183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롯데하이마트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1도토리 조정희
183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전자 4Q21 잠정실적 코멘트 - 일회성 비용 제거하면 기대치 충족 1도토리 조정희
1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약 - 제약/바이오 Weekly 1도토리 조정희
183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화솔루션 Top Pick 기호 1번: 1) 폴리 하락, 2) 석탄 부족, 3) 미국 세제 혜택 1도토리 조정희
183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조이시티 신작 및 자체 IP 활용 P2E, NFT 성장성 가시화 1도토리 조정희
183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디스플레이 밸류에이션 상승 여력 , 여전히 높다 1도토리 조정희
1831 성장동력산업 하이 FX Monitor - 트리플 긴축, 고용호조에도 달러 정중동 1도토리 조정희
1830 성장동력산업 [HI Economy] 22 년 주요 경제 이슈 미리보기 3도토리 조정희
182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전자 IT Set 실판매 강도에 주목 필요 1도토리 조정희
182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화네트웍스 올해 자체 IP 라인업 본격화로 실적개선 가속화 1도토리 조정희
1827 성장동력산업 트리플 긴축과 경기 1도토리 조정희
182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전자 4Q21 Review: 좋은 수요와 높은 비용의 공존 1도토리 조정희
1825 성장동력산업 열린 금리와 그 커브 1도토리 조정희
1824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경기둔화 를 대비하라 1도토리 조정희
1823 성장동력산업 2022 년 글로벌 증시 전망 : 농부의 마음으로 1도토리 조정희
1822 성장동력산업 지금은 한 발 더 물러설 때 기회는 언제? 1도토리 조정희
18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 - 아직도 불안한 에너지 수급 과 원자재 투자 전략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