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기업 개발 투자의 전략성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 및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55
용량 15.72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기업 개발 투자의 전략성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 및 방안.pdf 15.7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2-2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80 

(1) 기업 R&D 지원 정책 현황 분석


정부의 기업R&D 직접지원에 해당하는 정부연구개발사업 수행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기업의 전반적인 R&D 수행 현황,

중점과학기술분야 및 부처별 수행 현황, 주요 사업등을 도출


정부연구개발사업 중 기업의 수행 비중은 27.8%(2022년 기준)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중점과학기술분야 중 기업이 가장 중점적으로 수행하는 분야는 ICT・SW 분야, 기타 분야, 기계·제조 분야 순으로 나타남

 

정부 부처 중 중소벤처기업부 사업의 기업 수행 과제수가 가장 많고, 지원 규모 측면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액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기업 수행 빈도가 높은 상위 30개 사업을 살펴본 결과 가장 빈도수가 많은 상위 3개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업지원 유형 사업이며, 30개 사업 중 가장 많은 유형은 기술개발 유형인 것으로 나타남

 

기업 R&D 지원 효과의 국제 비교 분석


OECD의 microBeRD 프로젝트와 microBeRD+ 프로젝트는 세계 각국의 기업 R&D 정책 현황 및 효과에 대해 연구해 왔음

 

microBeRD 프로젝트를 통해, 국가 간 분석 결과 R&D 세금 지원 1단위가 1.4단위의 추가 R&D로 전환되었으며,

실험 개발에 대한 효과는 기초 및 응용 연구에 대한 효과의 약 2배로 나타남을 보임


microBeRD+ 프로젝트는 투입부가성 분석의 마이크로 집계 지표 부문에서 일부 데이터가 최신화되었으며

조사 대상국이 추가되었으나, 우리나라는 분석 대상에서 제외되었음

 

기업 R&D 조세지원 정책 현황 분석

 

1. 기업 R&D 조세지원 개요


기업 R&D에 대한 조세지원 제도는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기업이 납부해야 할 법인세 중 일부를 관련법에 따라

공제, 감면, 비과세, 우대세율 적용 등의 방식을 통해 지원하는 제도임


R&D 조세지원은 기업 R&D 간접지원의 가장 대표적 유형으로, 절감된 법인세로 R&D 재투자를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연구개발자금을 직접 지원하는 R&D 직접지원 (출연금)과 함께 R&D 투자를 촉진하는 주요 정책수단으로 사용됨
 

- 정해진 연구개발 목표 및 계획에 따라 출연금을 지원하는 R&D 직접지원과 달리 기업이 필요한 R&D를 수행하고

  그 활동에 대해 사후적으로 재정지원을 받는다는 점에서 직접 재정지원과 차이점이 있음

 

 

 

 

 

 

 

 

 

 

 

---------------------------------------------------------------------------------------------------------------------------------------------------------

 

 

 

 

 

 

 

 

 

개발.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19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ㆍ중 우주개발 경쟁 및 보안 대책 분석 5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업 개발 투자의 전략성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 및 방안 13도토리 국준아
819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국내, 인공지능 기반 SDV 첨단반도체 기술개발 과제 제안서 5도토리 국준아
8196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국내, 미래모빌리티 자동차 기술개발 과제 제안서 5도토리 국준아
8195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국내, AI 기반 SDV 통신 기술개발 과제 제안서 5도토리 국준아
81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과 중국의 기술경쟁 및 첨단 바이오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국준아
81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외 연구기관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략 13도토리 국준아
81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주요국 전략산업의 공급망 이슈 및 완화를 위한 전략 13도토리 국준아
81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글로벌 첨단산업별 기술 현황 분석 7도토리 국준아
819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글로벌 주요 산업기술의 정책과 경쟁력확보를 위한 전략 5도토리 국준아
818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정부의 주요 정책 개요 및 유망산업 분석 7도토리 국준아
81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주요국들의 주요 경제 및 산업 현황 5도토리 국준아
81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주요 첨단과학 기술 개발 제도 개선방안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18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5년 미국이 발표한 24년 경제 평가와 전망 3도토리 이지훈
81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한민국 무기 연구개발 전략과 투자 현황 5도토리 이지훈
81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지역 불균황 완화를 위한 혁신창업 성장 방안 11도토리 이지훈
81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외 주요 산업들의 기술현황 및 연구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81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 수출기업들의 환경과 전망 조사 7도토리 이지훈
81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집권을 통한, 주요 에너지 산업의 변화 13도토리 정한솔
8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글로벌 주요국가들의 비교를 통한 대한민국 인공지능 반도체 발전 전망 5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