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국내 지역 불균황 완화를 위한 혁신창업 성장 방안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60 | |
---|---|---|---|---|---|---|
용량 | 4.49MB | 필요한 K-데이터 | 11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4.49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2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51 |
우리나라 혁신창업생태계의 성장과 지역 불균형
우리나라의 혁신창업생태계는 경제사회적 수요 증가와 정부 지원을 통해 지난 30년간 크게 성장해 옴
혁신창업생태계는 지역 경제사회의 역동성을 창출하여 지속가능 지역이 되기 위한 주요 수단으로 기대됨
그러나 벤처기업 수, 벤처투자 등 혁신창업 성과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정부는 혁신창업생태계의 국토 균형 성장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음
지역 혁신창업생태계 현황 모니터링의 필요성
지역에 따라 약점과 강점, 관련 주체 간 영향 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혁신창업을 둘러싼 지역 상황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을 도모할 수 있음
우리나라 혁신창업생태계의 성장
4차 산업혁명, 디지털전환 등 기술 변화로 촉발되고 있는 산업·경제사회 변화 속에서 혁신 창업이 강조되고 있음
- 디지털전환은 디지털 기술에 기반 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의 개발을 통해 구현되며 주로 혁신적 창업기업이 기존 산업에 침투하는
형태로 나타남
* 산업 디지털전환 주도 창업기업 예시: 쿠팡(유통산업), 테슬라(자동차산업) 등
- 바이오·헬스나 양자기술 등 과학 및 공학적 발견을 기반으로 한 딥테크 스타트업은 미래 사회를 바꿀 혁신적 기업으로
국가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정책적으로 육성되고 있음 (김영환 외, 2024)
*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 정책: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중소벤처기업부),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지원사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우리나라의 혁신창업생태계는 경제사회적 수요 증가와 정부 지원을 통해 지난 30년간 크게 성장해 옴
- 20년 간 법인창업 및 벤처투자가 약 2배 이상 증가했으며 ’16년 2개사에 불과했던 유니콘 기업은
’20년 13개사로 증가(중소벤처기업부, 2021.4.26.)
- 서울의 글로벌 창업생태계 순위는 ’21년 16위에서 ’24년 9위로 위상이 높아짐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