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집권을 통한, 주요 에너지 산업의 변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59
용량 6.94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집권을 통한, 주요 에너지 산업의 변화.pdf 6.9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2-20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81 

Ⅰ. 트럼프의 에너지 시대


Drilly, Baby, Drill 여건 조성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는 트럼프

 

지난 1월 20일, 미국의 제47대 대통령으로 트럼프가 취임하면서 2017~2020년에 이어 그의 집권 2기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대선 기간 트럼프 캠프는 에너지 가격 하락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석탄과 원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로의 회귀 정책을 강조해왔다.
실제로 취임식 당일 트럼프는 그 동안 예고해왔던 에너지 산업 전반에서의 정책 변화들을 실행에 옮겼는데,

가장 대표적으로는 파리기후협약 재탈퇴에 서명했다. 바이든 정부에서 이뤄졌던 북극에서의 석유시추 금지 조치 또한 즉각 폐지하도록 명령하였고, 보다 포괄적으로는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면서 화석연료 생산 및 파이프라인 등 인프라 건설에 적용되던 각종 규제 완화를 지시하였다.

 

전통에너지 장려에 얼마나 적극적일지 잘 보여주는 에너지지배위원회 설립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에는 이전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들을 폐지하면서 과거 집권 1기 당시의 스탠스로 회귀하는

움직임들을 보였다면, 최근 와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화석연료 생산을 장려하는 환경 조성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2월 14일에는 국가에너지지배위원회(National Energy Dominance Council) 설립하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석유와 천연가스 등 전통에너지 생산을 늘릴 수 있도록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것을 에너지지배위원회에 지시하였다.

 

AI 기술 지배를 위해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필요성 강조


미국이 AI 산업을 지배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더 저렴한 전력이 필요하다는 Doug Burgum 의장의 발언에도 주목할 만하다.

그는 기저부하 없이는 중국과의 AI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으며, 언제든 전력을 생산해낼 수 있는 천연가스와 석탄발전소를

통해 AI 전력수요 증가를 안정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

 

 

 

 

 

 

 

 

 

 

 

미국.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19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ㆍ중 우주개발 경쟁 및 보안 대책 분석 5도토리 국준아
819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기업 개발 투자의 전략성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 및 방안 13도토리 국준아
819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국내, 인공지능 기반 SDV 첨단반도체 기술개발 과제 제안서 5도토리 국준아
8196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국내, 미래모빌리티 자동차 기술개발 과제 제안서 5도토리 국준아
8195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국내, AI 기반 SDV 통신 기술개발 과제 제안서 5도토리 국준아
81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미국과 중국의 기술경쟁 및 첨단 바이오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국준아
81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외 연구기관 효율성 개선을 위한 전략 13도토리 국준아
819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주요국 전략산업의 공급망 이슈 및 완화를 위한 전략 13도토리 국준아
819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글로벌 첨단산업별 기술 현황 분석 7도토리 국준아
819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글로벌 주요 산업기술의 정책과 경쟁력확보를 위한 전략 5도토리 국준아
818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정부의 주요 정책 개요 및 유망산업 분석 7도토리 국준아
818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외 주요국들의 주요 경제 및 산업 현황 5도토리 국준아
818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주요 첨단과학 기술 개발 제도 개선방안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18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5년 미국이 발표한 24년 경제 평가와 전망 3도토리 이지훈
81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한민국 무기 연구개발 전략과 투자 현황 5도토리 이지훈
81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지역 불균황 완화를 위한 혁신창업 성장 방안 11도토리 이지훈
81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외 주요 산업들의 기술현황 및 연구 분석 13도토리 이지훈
81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 수출기업들의 환경과 전망 조사 7도토리 이지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집권을 통한, 주요 에너지 산업의 변화 13도토리 정한솔
8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글로벌 주요국가들의 비교를 통한 대한민국 인공지능 반도체 발전 전망 5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