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반도체 산업의 재상승을 위한 국내 반도체 기술 현황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60 | |
---|---|---|---|---|---|---|
용량 | 984.45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84.45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9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4 |
주요 현황
□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는 6,970억 달러로 예측되며, 점유율은 2023년 기준
미국 50.2%, 한국 13.8%, 유럽 12.7%, 일본 9.0%, 대만 7.0%, 중국 7.2%를 차지(SIA, 2024)
❍ 한국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1년 21.0% 에서 ’23년 13.8%로 축소되었으며 그 이유로 한국의 강점인 메모리 시장은
’21년 대비 40% 작아진 반면, 시스템 시장이 15.4% 확대(SIA Factbook 2021, 2023)
- 현재 글로벌 시스템 반도체 시장의 규모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2배 이상이며 IoT, 인공지능의 사용 확대로 시장이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
- 한국이 독보적인 위상을 유지하던 메모리 시장에서도 중국 반도체 기업이 기술격차가 거의 없는 레거시 메모리를 중심으로
물량 공세에 나서며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음
한국의 반도체 분야 기술수준
❍ 2022년 기술수준평가에 의하면 반도체 분야의 5개 기술 중 메모리, 첨단패키징 기술은 미국에 이어 2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AI반도체, 전력반도체, 센서 분야는 대상국 중 4, 5위 수준으로 조사됨
※ 기술수준평가는 과학기술 전 분야 136개 기술을 대상으로 하며, 한국, 중국, 일본, EU, 미국 등 5개국 에서
최고기술국과 최고 기술국 대비 상대적 수준을 2round 델파이 방식으로 조사, 반도체 분야의 대상기술은
‘12대 국가전략기술’의 세부기술과 동일
□ 2022년 기술수준평가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평가 관점에 따른 세부적인 기술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2024년 설문조사를 통해
기초역량 및 사업화, 반도체 기술 생애주기에 따른 기술수준을 추가 분석
❍ 3대 게임체인저 분야 공통적으로는 기초역량, 사업화로 구분하여 기술수준을 평가하였고, 반도체 기술 생애주기 관점에서는
기초/원천연구, 설계 기술, 공정 기술, 양산 기술에 따른 기술수준을 평가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