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4년도 국내, 과학기술 R&D 정책의 주요 아젠다와 25년 계획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53 | |
---|---|---|---|---|---|---|
용량 | 15.71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5.7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9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58 |
Ⅰ. 개 요
1. 추진배경 및 목표
과학기술혁신 정책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경제・사회적 변화와 이슈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영향의 폭이 확대 중
다양한 분야에서 부상하는 신규 이슈들의 상호작용과 과학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적 분석은 미흡한 상황
과학기술혁신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이슈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 분석, 결과 확산 체계 구축・운영 필요
정책기획본부에서는 주요 현안에 대한 정책적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2019년부터 매년 환경변화에 따른 이슈를 발굴하고,
혁신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정책과제를 발굴
Ⅱ. 과학기술혁신정책 이슈 도출 주요 내용
1. 주요 환경변화 분석1)
기술패권 경쟁 지속 예상
- 반도체・이차전지 분야 수출규제 등 글로벌 공급망 경쟁과 첨단기술 상호배제가 강화되는 양상으로 기술패권 경쟁이 지속
전 분야 디지털・AI 전환 본격화
- 혁신기술로써의 AI를 넘어 산업・경제・사회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AI 생태계가 본격화
저출생 본격화로 인한 인재확보 시급
- 저출생과 2차 베이비붐 세대(64~73년생) 은퇴가 맞물려 최고급 인재는 물론 숙련된 엔지니어층까지 약화되는 ‘축소사회’
도래 가속화와 글로벌 인구성장세 둔화로 인한 각국의 과학기술 인재확보 경쟁 심화
과학기술 경쟁력의 재도약 시점
- 현재 추진 중인 R&D혁신방안과 글로벌 협력 등 관련 정책의 조속한 실행 및 현장 착근 등을 통해
우리나라 과학기술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시점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