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파리 인공지능 산업 정상회의와 전망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62
용량 630.11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파리 인공지능 산업 정상회의와 전망점.pdf 630.1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2-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주요내용
 

▶ 파리 AI 행동 정상회의는 트럼프 정부 출범, 딥시크(DeepSeek) 등장, 글로벌 사우스 부상 등이 국제사회의 AI 논의 구도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였음.

 

- 지난 두 차례의 AI 정상회의가 주로 AI의 안전에 주목했던 것과는 달리, 2025년 파리 AI 행동 정상회의는 AI 기술 성장 및 경쟁력에

  관한 논의를 적극적으로 진행함.

 

- 한편 AI의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강조하여, 논의의 범위와 참여 주체를 확장함.

 

▶ 파리 AI 행동 정상회의는 AI를 둘러싼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시사하였음.

 

- 미국, 영국이 정상선언문에 불참하고, 프랑스와 EU는 AI 개발에 대한 역량과 의지를 적극적으로 표출함으로써

  미국, 중국, 그리고 유럽이 가세한 AI 패권 경쟁이 심화할 가능성을 드러냄.

 

- 우리나라는 2024년 발효된 「인공지능 기본법」 등을 중심으로 AI 경쟁력 강화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하고,

  글로벌 AI 생태계의 변혁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

 

1. 파리 AI 행동 정상회의 개최 배경과 의의


■ [개요] 2025년 2월 10~11일 양일간 파리에서 제3회 AI 정상회의(AI Action Summit)가 개최됨.

 

- 전 세계 100여 개 국가와 1,000여 명의 민간 부문 및 시민사회 대표가 참석하여 ‘공익을 위한 AI’, ‘노동의 미래’ 등

  다섯 가지 중점 의제에 대해 논의함.1)

 

- 프랑스, EU, 중국, 인도 등 60개국은 ‘사람과 지구를 위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AI에 관한 선언문
  (Statement on Inclusive and Sust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for People and the Planet)’을 채택함.2)

 

■ [개최 배경] AI 정상회의는 AI 기술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요인을 인식 및 공유하는 한편, AI의 포용적인 활용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됨.

 

- AI는 경제와 사회 전반의 거의 모든 부분을 변화시킴으로써 국제사회에 커다란 기회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다른 측면으로 국제사회의 안정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평가임.

 

-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AI의 발전으로 인한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최초의 ‘AI 안전 정상회의’

  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포용적 AI 활용 등으로 논의 주제가 확대되었음.

 

2. 주요 결과


가. 논의 초점과 정상선언문의 주요 내용

 

■ [AI 기술 성장 및 경쟁력] 앞선 정상회의에서 AI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및 AI 시스템 안전을 주로 논의한 반면,8)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유럽을 중심으로 AI 기술 혁신, 경쟁력 강화가 활발하게 논의됨.

 

 

 

 

 

 

 

 

 

 

 

 

---------------------------------------------------------------------------------------------------------------------------------------------------------

 

 

 

 

 

 

 

 

 

 

 

 

장애.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지역별 농지 현황의 실태 13도토리 정한솔
81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산업의 재상승을 위한 국내 반도체 기술 현황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1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 산업 메타버스의 현황과 SW기업의 현황 13도토리 정한솔
81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도 국내, 과학기술 R&D 정책의 주요 아젠다와 25년 계획 13도토리 정한솔
817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5년 글로벌 주요국들의 노동시장 현황 및 전망 13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파리 인공지능 산업 정상회의와 전망점 5도토리 정한솔
8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딥시크의 인공지능 산업이 반도체 업의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고율관세의 시작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력 3도토리 정한솔
8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 우크라라이나 전쟁 후, 러시아의 경제 위기와 현실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 국방력 발전을 위한 대외정책과 핵 13도토리 정한솔
8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 R&D 개발사업에 있어의 연구 윤리 의식 향상 전략 13도토리 정한솔
81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독일 조기 총선의 결과와 시사점 5도토리 정한솔
81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홈과 시장과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기술 현황과 전망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6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딥시크의 출시에 따른 AI 산업의 영향 및 시사점 7도토리 민준석
81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지역 콘텐츠 산업의 현황 분석 13도토리 민준석
8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거대 인공지능 주요 기업의 모델 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민준석
8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지속개발 가능한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과 주요 이슈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건설산업의 현황과 디지털 전환을 위한 동향 9도토리 민준석
81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금 가격의 변화 5도토리 민준석
81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산업의 탄소 배출의 필요성과 대응전략 7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