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국, 딥시크의 인공지능 산업이 반도체 업의 미치는 영향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69
용량 544.84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국, 딥시크의 인공지능 산업이 반도체 업의 미치는 영향 분석.pdf 544.8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2-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 

Ⅰ. Deepseek 개요


DeepSeek은 중국 퀀트 헤지펀드 운용사 High-Flyer의 자회사로 2023년 5월에 설립

 

Ÿ 중국 퀀트 헤지펀드1) 운용사 High-Flyer의 AI 연구소였던 DeepSeek은 2023년에 분사했으며

   High-Flyer의 GPU 클러스터를 활용해 AI 모델을 개발

 

‑ High-Flyer의 창립자 Liang Wenfeng은 1985년생으로 저장대 전자정보공학 학사, 정보통신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016년 High-Flyer를 설립

 

‑ High-Flyer는 2019년에 투자 기법 고도화를 위해 AI 전담 부서를 설립하고 2021년부터 엔비디아 GPU를 구매


· 중국 언론과 인터뷰에서 High-Flyer는 2021년 미국의 대중국 고사양 반도체 수출금지 이전에 1만장 이상의

  엔비디아 A100 GPU를 구매했다고 밝힘

 

· DeepSeek은 중국 명문대 출신의 젊은 인재로 회사를 구성하고 AI 모델을 개발

 

Ÿ DeepSeek은 2024년 12월에 거대언어모델(LLM) V3, 2025년 1월 20일에 V3 기반의 추론 모델 R1와 PC에서 로컬로

  실행할 수 있는 R1의 경량화 버전 6개 모델을 출시

 

DeepSeek은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무료 상업적 사용을 허용해 AI 개발이 가속화될 전망
 

Ÿ DeepSeek은 프로그램 소스를 MIT 라이선스7)로 공개하여 누구나 프로그램을 수정, 개선, 재배포할 수 있으며

   수정된 버전을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Ÿ 오픈AI는 AI 모델을 공개하지 않는 폐쇄형 전략, Meta는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나 상업적 사용 등에 제약이 있음

 

‑ 오픈AI, 구글 등은 AI 기술의 오남용 우려 등으로 소스코드를 공개하지 않고 AI 모델을 사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만을 제공

 

‑ DeepSeek과 알리바바가 오픈소스 전략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들은 후발주자로 집단 지성을 통해 미국 AI 기술을 추격하기 위해

  오픈소스를 채택한 것으로 추정

 

 

 

 

 

 

 

 

 

 

 

---------------------------------------------------------------------------------------------------------------------------------------------------------

 

 

 

 

 

 

 

 

 

 

 

딥시크.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지역별 농지 현황의 실태 13도토리 정한솔
81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산업의 재상승을 위한 국내 반도체 기술 현황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1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 산업 메타버스의 현황과 SW기업의 현황 13도토리 정한솔
81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도 국내, 과학기술 R&D 정책의 주요 아젠다와 25년 계획 13도토리 정한솔
817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5년 글로벌 주요국들의 노동시장 현황 및 전망 13도토리 정한솔
81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파리 인공지능 산업 정상회의와 전망점 5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딥시크의 인공지능 산업이 반도체 업의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고율관세의 시작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력 3도토리 정한솔
8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 우크라라이나 전쟁 후, 러시아의 경제 위기와 현실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 국방력 발전을 위한 대외정책과 핵 13도토리 정한솔
8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 R&D 개발사업에 있어의 연구 윤리 의식 향상 전략 13도토리 정한솔
81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독일 조기 총선의 결과와 시사점 5도토리 정한솔
81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홈과 시장과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기술 현황과 전망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6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딥시크의 출시에 따른 AI 산업의 영향 및 시사점 7도토리 민준석
81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지역 콘텐츠 산업의 현황 분석 13도토리 민준석
8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거대 인공지능 주요 기업의 모델 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민준석
8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지속개발 가능한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과 주요 이슈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건설산업의 현황과 디지털 전환을 위한 동향 9도토리 민준석
81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금 가격의 변화 5도토리 민준석
81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산업의 탄소 배출의 필요성과 대응전략 7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