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5년 독일 조기 총선의 결과와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67
용량 680.14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5년 독일 조기 총선의 결과와 시사점.pdf 680.1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2-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0 

주요내용

 

2025년 독일 연방하원의회 조기 총선(2월 23일) 실시 결과, 기민/기사당이 1위, 독일대안당이 2위를 차지한 반면,

기존 집권당(사민당, 녹색당, 자민당) 지지율은 하락

 

- 2024년 사민당-녹색당-자민당 연정 붕괴(11월)와 숄츠 총리 신임투표 부결(12월)로 인해 조기 총선 실시

 

- 총선 제2투표 결과 기민/기사당(28.6%), 독일대안당(20.8%), 사민당(16.4%), 녹색당(11.6%), 좌파당(8.8%)
  이 연방하원에 진출하여 총 630석을 득표율에 따라 배분

 

- 주요 정당 중 자민당은 득표율이 5%에 미달하여 연방하원 진출에 실패

 

1. 2025년 독일 총선 결과 및 조기 총선의 배경

 

가. 2025년 총선 결과

 

■ 2025년 2월 23일에 독일 299개 선거구에서 이루어진 연방하원의회 (Bundestag) 선거 예비결과에 따르면,

    이번 총선의 투표율은 82.5% 로 2021년 총선 대비 6.1%p 상승함.

 

- 제1투표는 299개 선거구에 대한 투표, 제2투표는 비례대표 투표로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299+α 의석이 나뉘게 되며,

  이번 선거에서는 총 630석이 배정됨.

 

■ 이번 총선에서는 기민/기사당이 승리하였으며, 독일대안당의 약진과 기존 집권당에 대한 지지율 하락이 두드러짐.


- 제2투표에서 득표율 28.6%를 획득한 기민/기사당이 선두로서 정부 구성 우선권을 갖게 되었음.
- 독일대안당(AfD)의 제2투표 득표율은 지난 선거 대비 2배 이상 상승한 20.8%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임.
- 기존 집권당인 사민당(SPD), 녹색당(Bündnis 90/Die Grünen), 자민당(FDP)에 대한 지지율은 지난 2021년 총선 대비

  모두 하락했고, 특히 자민당의 연방하원 진출이 좌절 (득표율 5% 미달)됨.

 

 

 

 

 

 

 

 

 

---------------------------------------------------------------------------------------------------------------------------------------------------------

 

 

 

 

 

 

 

 

총선.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지역별 농지 현황의 실태 13도토리 정한솔
81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산업의 재상승을 위한 국내 반도체 기술 현황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1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 산업 메타버스의 현황과 SW기업의 현황 13도토리 정한솔
81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도 국내, 과학기술 R&D 정책의 주요 아젠다와 25년 계획 13도토리 정한솔
817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5년 글로벌 주요국들의 노동시장 현황 및 전망 13도토리 정한솔
81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파리 인공지능 산업 정상회의와 전망점 5도토리 정한솔
8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딥시크의 인공지능 산업이 반도체 업의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고율관세의 시작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력 3도토리 정한솔
8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 우크라라이나 전쟁 후, 러시아의 경제 위기와 현실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 국방력 발전을 위한 대외정책과 핵 13도토리 정한솔
8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 R&D 개발사업에 있어의 연구 윤리 의식 향상 전략 13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독일 조기 총선의 결과와 시사점 5도토리 정한솔
81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홈과 시장과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기술 현황과 전망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6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딥시크의 출시에 따른 AI 산업의 영향 및 시사점 7도토리 민준석
81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지역 콘텐츠 산업의 현황 분석 13도토리 민준석
8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거대 인공지능 주요 기업의 모델 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민준석
8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지속개발 가능한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과 주요 이슈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건설산업의 현황과 디지털 전환을 위한 동향 9도토리 민준석
81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금 가격의 변화 5도토리 민준석
81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산업의 탄소 배출의 필요성과 대응전략 7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