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딥시크의 출시에 따른 AI 산업의 영향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75
용량 745.8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딥시크의 출시에 따른 AI 산업의 영향 및 시사점.pdf 745.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2-1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1 

1. 딥시크의 등장과 배경


£ 2025년 1월 20일, 중국의 스타트업인 딥시크(창업자: 량원평)가 전세계 AI 산업계에 상당한 파급력을 갖는 DeepSeek-R1

   모델(이하 R1 모델)을 출시1)2)

 

∙ 딥시크의 추론형 AI 모델 ‘R1’과 ‘R1-Zero’*는 AI 연구 커뮤니티와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상당한 화제로 부상3)

 

* R1-Zero는 강화학습만으로 학습된 모델로 지도학습 기반 파인튜닝(Supervised Fine-Tuning, SFT) 없이 스스로 문제 해결하는

  모델이며, 반면에 R1은 소량의 콜드스타트(Cold-start) 데이터와 다단계 학습 과정을 통해 더욱 향상된 성능과 가독성을 제공하는

   모델

 

∙ 딥시크는 R1 모델 발표와 함께 AI 산업에서 핵심 플레이어 중 하나로 빠르게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가성비 높은 AI 모델로서의

  입지를 구축해가는 추세

 

£ 오픈AI 및 구글은 기반모델을 개발하여 폐쇄적인 형태로 운영하는 반면, 딥시크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R1 모델 개발4)


∙ 딥시크는 오픈소스 기반으로 지식 증류와 다단계 강화학습과 같은 비용 절감 기술을 도입하여 AI 모델의 효율성을 향상5)
∙ R1 모델은 AI 학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전문가 혼합(MoE, Mixture-of-Experts) 기술을 활용
∙ 딥시크는 벤치마킹 평가 결과를 통해 R1 모델이 GPT-4 모델과 경쟁할 만한 성능을 기록했다고 주장

 

4. 딥시크 관련 주요 이슈

 

£ 딥시크는 연구논문에서 MoE, MLA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연산 자원 사용을 최적화하여 오픈AI의 GPT-4 등의 AI 모델보다

   학습비용이 낮다고 주장29)

 

∙ 그러나 일부에서는 딥시크가 비용 절감을 달성한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인프라 및 인력 비용까지 고려했을 때 실제로는

  보다 많이 비용이 들었을 수 있다고 추측

 

* 독립적인 연구 기업인 SemiAnalysis는 딥시크의 600만 달러라는 추산은 주로 GPU 사전학습 비용을 고려하였으며,

   회사에서 발생하는 연구 개발, 인프라 및 기타 필수 비용에 대한 상당한 투자는 무시되었다고 주장30)

 

£ 딥시크는 중국의 규제 환경 속에서 운영되어 개인정보 처리 방식에 대한 의문을 유발31)
 

∙ 중국의 사이버 보안법에 따르면, AI 기업들은 데이터를 국내에서 저장 및 처리해야 하며,

  필요 시 정부기관에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보유

 

* 딥시크 약관에 수집된 데이터는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되며 중국 정부의 요청 시 제공될 수 있도록 규정

 

∙ 딥시크는 일반적인 생성AI와 다르게 키보드 입력 패턴과 같은 개인 식별이 가능한 정보를 수집하고, 중국 업체의 서버와

  직접 통신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사용자의 채팅 기록이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 제기32)

 

* 2025년 2월 9일, 국정원은 딥시크에 대한 기술 검증 결과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입력 데이터의 학습 데이터 활용

 

▲광고주와의 무제한 정보 공유 ▲국외 서버 저장 등의 문제점을 확인했다고 밝힘

 

 

 

 

 

 

 

 

 

---------------------------------------------------------------------------------------------------------------------------------------------------------

 

 

 

 

 

 

 

 

 

 

토큰.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 지역별 농지 현황의 실태 13도토리 정한솔
81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산업의 재상승을 위한 국내 반도체 기술 현황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1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 산업 메타버스의 현황과 SW기업의 현황 13도토리 정한솔
81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도 국내, 과학기술 R&D 정책의 주요 아젠다와 25년 계획 13도토리 정한솔
817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5년 글로벌 주요국들의 노동시장 현황 및 전망 13도토리 정한솔
81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파리 인공지능 산업 정상회의와 전망점 5도토리 정한솔
8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딥시크의 인공지능 산업이 반도체 업의 미치는 영향 분석 5도토리 정한솔
8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고율관세의 시작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력 3도토리 정한솔
8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러시아 우크라라이나 전쟁 후, 러시아의 경제 위기와 현실 분석 3도토리 정한솔
8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 국방력 발전을 위한 대외정책과 핵 13도토리 정한솔
8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 R&D 개발사업에 있어의 연구 윤리 의식 향상 전략 13도토리 정한솔
816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독일 조기 총선의 결과와 시사점 5도토리 정한솔
81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홈과 시장과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기술 현황과 전망 분석 7도토리 민준석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딥시크의 출시에 따른 AI 산업의 영향 및 시사점 7도토리 민준석
81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지역 콘텐츠 산업의 현황 분석 13도토리 민준석
8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거대 인공지능 주요 기업의 모델 분석 및 시사점 7도토리 민준석
8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지속개발 가능한 산업 발전을 위한 전략과 주요 이슈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국, 건설산업의 현황과 디지털 전환을 위한 동향 9도토리 민준석
81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금 가격의 변화 5도토리 민준석
81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산업의 탄소 배출의 필요성과 대응전략 7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