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국내, 지역 콘텐츠 산업의 현황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민준석 | 조회수 | 72 | |
---|---|---|---|---|---|---|
용량 | 26.29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6.29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7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235 |
제2장 지역콘텐츠산업 사업체 조사 결과
1. 조사 개요 및 응답 사업체 일반 현황
본 사업 조사 대상은 2024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전국에서 콘텐츠 사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으로서
한국콘텐츠진흥원 지원사업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대기업 및 대기업계열사, 출판산업, 만화책임대업, 만화 도소매업, 노래연습장운영업, 게임유통업, 광고산업 등은 제외되었다.
매출액, 종사자 수와 관련된 문항의 기준시점은 2023년 12월 31일이며, 그 외에 평균 근속 기간, 경영 현황 및 전망,
지역 인프라 환경 구축 체감도, 지역 콘텐츠 산업 인식에 대한 문항 기준시점은 조사 당시를 기준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사업체 특성별 분포를 살펴보면, 분야별로는 ‘지식정보’가 전체의 39.6%를 차지하여 가장 많고,
다음으로 ‘게임’(19.2%), ‘콘텐츠솔루션’(10.5%), ‘음악’(9.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8.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경기’가 17.5%로 높게 나타 났다.
규모별로는 ‘5인 미만’ 사업체가 43.0%, ‘5~9인’인 사업체가 24.4%, ‘10~49인’인 사업체가 28.1%로 50인 미만 사업체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회사 유형별로는 ‘법인사업체’가 58.7%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개인사업체’는 37.8%로 조사되었다.
2. 지역 전체
가. 산업 현황
1) 사업체 수
콘텐츠 사업체 수는 총 18,273개였으며, ‘영화’ 사업체 수가 5,258개(28.8%)로 가장 많았으며, ‘지식정보’ 3,925개(21.5%),
‘음악’ 2,285개(13.1%) 등의 순으로 분포하고 있다.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 지역의 콘텐츠 사업체 수가 7,782개(42.6%)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경기’ 3,906개(21.4%),
‘부산’ 803개(4.4%), ‘인천’ 670개(3.7%) 등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콘텐츠 사업체가 ‘서울’에 가장 많이 분포하나, ‘게임’ 사업체는 ‘경기’ 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