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금 가격의 변화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민준석 | 조회수 | 65 | |
---|---|---|---|---|---|---|
용량 | 1.73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7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3 |
---|---|
출처 : | 증권사 |
페이지 수 : | 14 |
금 가격, 다시 사상 최고치
금 가격은 연초의 $2,600 대를 저점으로 다시 10% 이상의 상승세 동사는 이전 발간 자료에서 금의 저가매수를 추천한 바 있음
[1/3 금 변한 건 없니 ]. 당시 매수 추천의 근거는 4분기 가격 조정으로 인해 미국 실질금리 달러화 ETF Flow 대비 중립 수준으로
돌아온 금 가격
실제로 연초 이후 미국 실질금리와 달러화는 1월 중순부터 다시 하락세를 나타내고 , ETF 에서도 자금 유입이 재개되며
금 가격 상승을 뒷받침
중앙은행의 금 순매입은 중국의 매입 중단으로 인해 작년 3 분기까지 전년 대비 다소 부진했으나 ,
4 분기 332 톤을 기록하며 연간 1,045 톤을 달성 3년 연속 1,000 톤을 상회
금년 금 가격 상승폭 $270 중 2 020~21 년의 회귀변수를 적용한 회귀값으로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은 $30 에 불과하며
나머지 상승분은 중앙은행 순매입 과 아래의 관세 메커니즘에 따른 것으로 추정됨
관세 관련 향후 금 시장 시나리오
실제 관세 부과가 확정될 경우 더 이상 미국 외 지역에서 미국 내로의 금 수입을 통한 차익거래는 불가
이에 따라 EFP 와 연계된 미국 COMEX 거래소 매도 포지션이 대거 청산되며 관세율만큼 미국 내외 가격 차이 확대
이는 단기적으로는 COMEX 선물 가격의 추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
단 이후 미국 내 재고 급증으로 수급 안정되며 가격 상승 효과는 다소 되돌려질 것으로 예상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