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디지털 산업의 탄소 배출의 필요성과 대응전략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민준석 | 조회수 | 70 | |
---|---|---|---|---|---|---|
용량 | 961.81K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61.81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1 |
디지털 분야 탄소중립의 필요성
대두되는 글로벌 현안 : 디지털 기술 확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증가
o ICT 기술은 지속적인 발전으로 현대 사회의 중요한 인프라로 자리잡았으나, 이에 따른 온실가스 및 탄소 배출 문제가
국제적 사회 현안으로 대두되는 중
- 국제 금융기관인 WorldBank(세계은행)는 디지털 산업에서 200개 주요 기술 기업이 배출한 온실가스가
약 2억 6천만 톤에 달한다고 발표하였으며, 이는 전 세계 에너지 소비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0.8%에 해당1)
- 또한 유엔 산하 ITU(국제전기통신연합)는 2020년 ICT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이산화탄소 환산량 기준
730메가톤(MtCO2-eq)에서 2030년 800메가톤을 넘을 것으로 예상2)
- 특히 2022년 기준 전 세계 전력 소비의 1.3%는 데이터 센터와 네트워크 장비에서 발생하며,
이는 에너지 관련 탄소 배출량의 1% 수준
ICT 단말기 시장 전망
o OECD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OECD 회원국들의 ICT 산업 성장률은 연평균 6.3%이며,
이는 전체 경제 성장률에 3배에 달하는 수준4)
- 그 중, IT 단말기 시장의 규모는 ‘23년 약 1조 8천억에 이르며, 2033년에는 4조 4천억 달러까지 IT 단말기 시장의 규모는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 및 보급으로 의한 탄소 배출 현황
o IoT, 인공지능 등의 발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출하량의 지속적인 성장 예상
- 스마트워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3년 1억 5천만 대 이상의 스마트워치가 출하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