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국내외, 자율주행 시장의 변화와 주요국과의 기술 수준 비교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민준석 | 조회수 | 60 | |
---|---|---|---|---|---|---|
용량 | 1.77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7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5 |
주요 국가 자율주행 확산 전략
이미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알려진 중국과 미국 캘리포니아 이외에도 주요 국가와 도시에서 자율주행 도입에 대한 본격적인 계획을
수립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3년 6월 두바이는 ‘두바이 자율주행 교통 전략’(Dubai Autonomous Transportation Strategy )을 수립했다.
2030년까지 자율주행 차량 최소 4천 대를 도입해 운송수단 전체 25%를 자율주행화하겠다는 것이 전략의 핵심이다.
자율주행 차량 도입으로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 교통사고와 유해가스 배출을 줄여 관광과 비즈니스에 특화된 매력적인 도시로
전환할 계획이다.
두바이교통청은 계획 추진을 통해 200억 아랍에미리트 디르함(약 55억 달러)을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일본은 2023년 2월 수립한 자율주행 레벨4 첨단 모빌리티 서비스 연구개발 및 사회 실증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2025년 50개, 2027년 100개 지역에 레벨4 자율주행 서비스를 실현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사회문제 해결형 프로젝트다. 즉 대중교통 기업들이 서비스를 중단한 교통 오지에서 고령자의 이동 복지 향상과
지방 도시의 이용자 및 운전자 부족 문제로 인한 적자 노선 폐지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에는 정부 지원 사업으로 시작되며, 향후 민간기업과 지방자치 단체 주도의 사업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무인 자율주행차 본격 경쟁
2023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자율주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3개 기업이 총 928만 2,679km를 주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데이터에서 가장 큰 변화는 기업들이 조작기가 없는 무인 자율주행차 서비스에 집중했다는 점이다.
무인 자율주행차 운행 허가를 받은 6개 기업 가운데 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 Benz )를 제외한 크루즈, 웨이모, 죽스( Zoox ),
뉴로( Neuro ), 아폴로( Apollo ) 5개 기업의 데이터가 공개됐다.
이들 중 크루즈와 웨이모는 특히 무인 자율주행차 서비스에 집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