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유럽연합의 정책 방향과 시사점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62 | |
---|---|---|---|---|---|---|
용량 | 2.46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4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9 |
작성 배경
□ 유럽연합(EU)은 2000년대 이후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세계 3대 경제권
(미국, 중국, EU) 중 가장 경쟁력이 낮아 총체적인 위기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
❍ 한동안 아시아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EU 기업들의 점유율 확대, 지정학적 안정성과 미국의 안보 우산에 의한 낮은
국방비 부담과 원활한 에너지 수급으로 인해 문제가 가시화되지 않음
❍ 하지만 AI로 대표되는 첨단기술 산업 경쟁에서 미국은 물론 중국에도 밀리면서 주도권을 놓쳤을 뿐 아니라
향후 중장기적인 성장 동력이 불투명한 상태
□ EU는 폰데어라이엔 2기 집행위원회 출범(’24.12.1.)을 전후로, EU의 위기 극복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시행하고 있음
❍ 2024년 4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EU 특별 정상회의에서는, EU의 글로벌 경쟁력 위기를 핵심 안건으로 상정하고
대응 마련을 위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
- 2024년 상반기 EU 의장국이었던 벨기에는 엔리코 레타 前 이탈리아 총리에게 EU 단일시장
경쟁력 회복에 대한 보고서를, EU 집행위원회는 마리오 드라기 前 유럽중앙은행 총재에 EU 경쟁력 제고를 위한 보고서 작성을 요청
❍ 폰데어라이엔 2기 집행위원회는 드라기 보고서의 핵심 제안 내용을 바탕으로 혁신정책 추진 예정
- EU의 경쟁력 강화 전략인 ‘경쟁력 나침반(Competitiveness Compass)’이 발표(’25.1.29.)되었으며,
이후 ‘청정산업딜(Clean Industrial Deal)’ 등 관련 입법 추진이 예정되어 있음
□ 본 고에서는 최근까지 이뤄진 EU의 혁신정책 관련 논의와 EU 경쟁력 나침반 이니셔티브의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혁신정책 추진 방향을 정리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
❍ 한국은 EU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의 상당수를 동일하게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EU의 대응 방안을 참고하여 국가 차원의
통합적 혁신정책 추진을 검토할 시점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