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한국, SW산업의 실태와 지역 산업의 성장성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68 | |
---|---|---|---|---|---|---|
용량 | 12.12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2.1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2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1 |
□ 연구 배경
ㅇ 지방은 인구소멸, 지방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산업 역량 강화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식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방균형 발전을 위해 2023년 「지방 디지털 경쟁력 강화방안」 을 수립하여 지역 특성 기반 SW 역량 강화,
지방 SW 인력 양성 등을 추진
SW 산업의 부가가치율은 71.9%로, 제조업(29.3%)보다 훨씬 높아 미래 유망 산업으로 평가1)되며,
지역 산업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함
ㅇ 비수도권 SW기업2)의 매출 규모는 ‘22년 기준 수도권의 12.9% 수준3)에 불과한 상황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
국내 주력산업의 SW 분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인재수급, 투자 유치등의 이유로 주요 SW공급기업의 입지가 수도권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임
* 강남 테헤란로, 판교 테크노벨리, 상암 DMC 등 주요 SW기업의 입지가 수도권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상황
국내 권역별 SW산업 현황
ㅇ 2016~2021년 기간 동안 국내 SW 사업체 수는 연평균 9.3% 수준으로 증가함
수도권 SW 사업체 수는 연평균 8.9%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며, 인천 (+14.6%), 경기(+14.3%), 서울(+6.9%) 순으로
증가 추이를 보임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