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글로벌 AI 산업의 현황 및 주요 이슈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67 | |
---|---|---|---|---|---|---|
용량 | 823.15K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823.15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1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5 |
미국 상무부, AI 칩과 모델의 수출 통제를 전 세계로 확대하는 규정 발표
18개 동맹국 및 파트너국 제외한 전 세계 국가로 AI 칩과 첨단 모델의 수출 통제 확대
미국 바이든 행정부 하의 상무부(DOC)가 임기 종료를 앞둔 2025년 1월 13일 AI 칩과 모델의 수출 통제를 강화하는
새로운 수출관리규정을 발표했으며, 동 규정은 2025년 5월 13일에 발효 예정
∙ 이번 규정은 일부 동맹국과 파트너국을 제외한 전 세계 국가에 대하여 AI 칩과 첨단 폐쇄형 AI 모델에 대한 수출 통제를 확대 시행
∙ 상무부는 규정 발효 전까지 120일간 의견수렴을 진행할 계획으로,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규정이 변경될 가능성도 존재
규정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한 핵심 동맹국과 파트너국 18개국*은 이번 조치에서 면제되어 기존처럼 AI 칩 수출 통제를 적용받지
않으나, 나머지 국가에는 AI 칩 수출을 제한
*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대만, 덴마크, 독일, 벨기에, 아일랜드, 스웨덴, 스페인, 영국,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프랑스, 핀란드, 한국, 호주
∙ 중국과 이란, 북한, 러시아 등 미국이 지정한 무기금수국 22개국으로 AI 칩을 수출하는 경우에는 현재와 동일하게 미국 상무부의
허가가 필요하며, 허가 신청 시 특별한 승인 사유가 없으면 거부
∙ 이번 조치로 핵심 동맹국과 파트너국 18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국가로 AI 칩을 수출하는 경우에는 미국 상무부 허가가
필요하며 국가별 일정한 할당량까지는 특별한 거부 사유가 없으면 허가
∙ 단, 무기금수국 이외 국가들에 대해서는 공급망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AI 칩의 개발과 생산 및 보관 목적의 수출과 재수출,
이전을 허용하며, 대학과 연구기관 등의 소량 구매도 허용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