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대한민국의 수입규제 현황과 전망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54
용량 1.77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대한민국의 수입규제 현황과 전망 분석.pdf 1.7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2-1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7 

총 괄

 

1. 2024년 하반기 對韓 수입규제 현황 (2024.12.31. 기준)
 

□ 2024년 하반기 전세계 對韓 수입규제는 상반기 대비 2건 증가한 216건
 

* 조사 진행 중 33건 포함
 

* EU(유럽연합), GCC(걸프협력회의)는 각각 1개 국가로 집계
 

○ 2024년 12월 말 기준, 한국 수출품에 수입규제 조치(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발동 중인 국가는 모두 24개국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0건)이며, 규제 건수는 총 216건임


- 2024년 상반기(6월 말 기준) 대비 규제 건수 2건 증가, 규제 국가는 2개국 감소
 

○ (국가별) 미국·인도·튀르키예·인도네시아·중국·캐나다 등의 순으로 규제가 많으며, 선진국(미국·캐나다·EU·영국·호주·뉴질랜드·

     일본) 89건(41.2%) 및 신흥국 127건 (58.8%)을 차지함

 

□ 2024년 하반기 對韓 수입규제 동향 특징과 전망


○ 신흥국에서도 보호무역 조치로 수입규제를 활용하는 추세 강화

 

- 2024년 하반기에 신규 조사개시된 15건 중 EU(3건), 미국(1건)을 제외한 11건이 모두 신흥국에서 시행된 조치

 

- 2024년 하반기 최종판정된 13건 중 신흥국이 10건을 차지했으며, 일몰재심으로 규제를 연장한 사례도

  신흥국(5건)이 선진국(2건) 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

 

○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우회수출’ 및 ‘국경간보조금’에 대한 규제 증가 전망

 

○ 수입규제 예상 품목
 

- (남아공) 철강제품(HS 72 및 73): 2024년 10월 중국, 태국, 일본 등 아시아 철강 제품에 대해 덤핑 가능성 조사 착수

 

- (말레이시아) 냉간압연코일(HS 7209): 일본, 중국산 제품 대상으로 일몰재심 진행 중 이며, 현지 철강 기업이 추가로 한국,

   베트남산에 대해서도 반덤핑 재조사를 요청한 상태

 

- (미국) 수입제품 전반: 트럼프 신정부 출범 이후 반덤핑/상계관세 집행 강화 예상. 특히 제3국(멕시코, 베트남 등)을 경유한 수출에

   대한 ‘우회수출’ 조사 및 수출품 제조 관련 제3국 보조금도 수출국 보조금으로 간주하는 ‘초국경보조금’ 조사 적극 활용 전망

 

- (베트남) 전자담배(HS 2404.12/19, 8543.30): 국회 결의안(173/2024/QH15)에 따라 2025년 1월 1일부로 전자담배 등의

   생산, 사업, 수입, 운송, 사용 등을 금지

 

- (브라질) 화학제품: 200만 개 이상의 일자리와 국내총생산의 12%를 차지하는 화학 산업 보호를 위해 화학산업협회가

   수입제품의 덤핑에 대한 강력한 조치를 촉구

 

 

 

 

 

 

 

 

 

 

 

---------------------------------------------------------------------------------------------------------------------------------------------------------

 

 

 

 

 

 

 

 

관세.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1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한민국 수소산업의 역사와 현황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금융산업에서의 디지털 AI 기술 활용 분석과 전망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자율주행 시장의 변화와 주요국과의 기술 수준 비교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5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주요국들의 차세대 배터리 상용 사례와 전망 분석 7도토리 민준석
815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와 AI 의료기술 정책 현황과 동향 7도토리 황세영
815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외 공기살균 시장의 현황과 발전 방향 분석 7도토리 황세영
815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국내 AI기반의 스마트 농업의 현황과 정책방향 7도토리 황세영
815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와 네트워크 기술의 융합 현황과 전망 7도토리 황세영
815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유럽연합의 정책 방향과 시사점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15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 한국, 조선산업의 전환을 위한 차세대 선박 기술개발 과제 공고 7도토리 황세영
814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한국, 바이오 파운드리 기술 개발 과제 공고 5도토리 황세영
814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5년 한국, 바이오 파운드리 기반 유전체 제작기술개발 공고 3도토리 황세영
81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한국, SW산업의 실태와 지역 산업의 성장성 분석 7도토리 황세영
81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트럼프 정부의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 변화를 통한 국내시장의 영향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1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Global 인공지능 산업의 변화와 전략 현황, 딥시크와 트럼프 정부의 연관관계 분석 5도토리 황세영
81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글로벌 AI 산업의 현황 및 주요 이슈 7도토리 황세영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대한민국의 수입규제 현황과 전망 분석 13도토리 황세영
81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4년 Global 주요국들의 개발 투자 동향 평가 분석 보고서 13도토리 황세영
814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5년도 국내 국방 통신기술 개발 과제 공고문 5도토리 국준아
81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Global 주요국 디지털 산업의 현황과 정책 분석 5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