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Monetary Policy Review 2021년 통화정책 한눈에 살펴보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83
용량 2.0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Monetary Policy Review 2021년 통화정책 한눈에 살펴보기.pdf 2.0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7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59 

[ 목 차 ]

 

Part Ⅰ2021년 Fed 통화정책 : 통화정책 정상화에 돌입

 

Part Ⅱ 21 2021년 ECB 통화정책: 상대적으로 강한 완화 스탠스

 

Part Ⅲ 42 2021년 BOK 통화정책: 금융불균형 해소에 무게를 둔 인상

 


 

2022년을 시작하기 앞서서 지난 1년간 주요국 중앙은행(Fed, ECB, BOK)들의 통화정책을 점검하는 자료를 작성했습니다. Part I 에서는 2021년 Fed 통화정책을 정리했습니다. 연준은 20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도입했던 과도한 완화적인 통화정책의 정상화 작업 돌입했습니다. 미국 경제가 팬데믹에서 벗어나 정상화되고 있는 만큼 정책 정상화 또는 긴축 전환이 필요했다는 판단입니다. 긴급 대출 프로그램은 2021년 중순에 모두 종료되 었고 11월 FOMC에서 테이퍼링 시작을 결정했습니다. 12월 FOMC에서는 테이퍼링 가속화 결정을 통해 QE 종료 시점이 6월 중순에서 3월로 앞당겨졌습니다. 그 뿐 아니라 연준 내에서 대차대조표 논의가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습니다. QE 종료 후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전에 재투자 규모 축소 관련 자세한 사항이 결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연준의 결정은 향후 정책 정상화, 더 나아가 긴축 전환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판단입니다. 다만 여전히 첫 금리 인상 시점은 7월(3분기)로 예상합니다. Part II 에서는 2021년 ECB 통화정책을 정리했습니다. ECB는 12월 회의에서 오는 3월에 종료되는 PEPP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산매입 정책의 급격한 전환 부작용을 감쇄하기 위해 PEPP 재투자 기한 연장, APP 규모 증액 등의 조치를 취했다는 판단입니다. APP 규모를 22년 2Q에 매월 400억€, 3Q에 매월 300억€로 한시적으로 증액 후 10월부터 다시 매월 200억€ 로 축소하는 것은 테이퍼링의 성격으로 해석될 만한 여지도 존재합니다. 다만 연준을 비롯한 글로벌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정상화, 긴축 전환에도 불구하고 ECB는 2022년에도 금리 동결, 자산 매입 지속 등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Part III 에서는 2021년 BOK 통화정책을 정리했습니다. 한국은행은 2021년 8월, 1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했습니다. 금리 인상의 배경은 경기 회복세 지속 전망, 높아진 물가 상승 압력 상승, 금융불균형 위험 누적이었고, 그 가운데 누적된 금융불균형 해소가 주된 근거였다는 판단입니다. 2021년 연간 물가 상승률이 2.5%를 기록해 한국은행 전망치를 상회하는 등 예상보다 높은 물가 수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금융불균형 해소와 함께 고물가 상황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을 더욱 부추길 수 있습니다. 2022년 신년사에서 이주열 총재도 높아진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이 상호작용해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을 살펴봐야 함을 언급했습니다. 1Q 추가 금리 인상은 기정사실화되었지만 1월보다는 2월, 2월보다는 4월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74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카카오게임즈 오딘 전망치 대폭 미달 vs NFT, 메타버스 잠재력 1도토리 조정희
173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자화전자 새로운 도약, 긴호흡으로 보자 1도토리 조정희
1738 성장동력산업 12월 FOMC 의사록: 앞당겨진 금리 인상, QT도 머지 않았다 1도토리 조정희
173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이크레더블 좋은 회사 좋은 가격 1도토리 조정희
1736 성장동력산업 OPEC+회의 결과보다 그들의 변화된 시각에 주목 1도토리 조정희
173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케이옥션 온라인 기반 미술품 경매 시장 1위 업체 1도토리 조정희
173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솔테크닉스 본업 턴어라운드, 아이원스 기반의 신성장 동력 확보 1도토리 조정희
173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원티드랩 수시채용은 글로벌 트렌드 , 매칭 경쟁력 부각 1도토리 조정희
173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아이엘사이언스 신사업 모멘텀 부각에 주목 1도토리 조정희
173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아이에이 가전에서 자동차용까지 탈바꿈 중인 전력 반도체 업체 1도토리 조정희
173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아모레퍼시픽 추정치 하향 지속 1도토리 조정희
1729 성장동력산업 주식시장 투자전략 배당락 이후 5일, 1년 전과의 비교 1도토리 조정희
172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세코닉스 자동차 산업의 카메라 수요 확대, 2022년부터 실적으로 본격화 1도토리 조정희
172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바이옵트로 PCB 업황 호황 , 바이옵트로도 함께 누린다 1도토리 조정희
172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다보링크 XR / 메타버스의 전제조건은 통신 인프라 1도토리 조정희
172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TCC스틸 숨겨진 초저평가 2차 전지주 , 실적 급증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72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이녹스첨단소재 1분기가 바닥 1도토리 조정희
172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LG디스플레이 2022년 실적 vs. 기대감 1도토리 조정희
17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 - 12월 자동차 판매 동향 1도토리 조정희
172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SDI 수요보다는 공급망 이슈로 살짝 부진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