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4년 대한민국의 실적 결과와 25년 전망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63 | |
---|---|---|---|---|---|---|
용량 | 728.94K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728.94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05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6 |
Ⅰ. 2024년 4분기 수출실적 평가
2024년 4분기 수출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4.2%, 전기 대비로는 0.9% 증가
Ÿ 2024년 4분기 수출액은 전년동기(1,681억 달러) 대비 4.2%, 전분기(1,737억 달러) 대비로는 0.9% 증가한 1,752억 달러
Ÿ 반도체 등 IT 수출 호조에 힘입어 수출 증가세는 유지했으나 그 외 품목들은 부진해 수출 증가폭은 전기 대비 축소
Ÿ 품목별로는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컴퓨터 등이, 지역별로는 미국, 중국, EU 등에서 증가세 유지
Ÿ 2024년 연간 수출액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6,838억 달러
2024년 4분기 수출업황 평가지수는 전기 대비 2p 상승한 92
Ÿ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원화기준 수출입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수출단가 평가지수, 생산원가 평가지수가 모두 상승했으며,
연말 수요 증가로 수출물량 평가지수도 상승하면서 전체 수출 업황 평가지수 상승
Ⅰ. 2024년 4분기 수출실적 평가
1. 수출실적 및 관련지표
2024년 4분기 수출실적은 전년동기 대비 4.2%, 전기 대비로는 0.9% 증가
Ÿ 2024년 4분기 수출액1)은 전년동기(1,681억 달러) 대비 4.2%, 전분기(1,737억 달러) 대비로는 0.9% 증가한 1,752억 달러
반도체·컴퓨터 등 호조로 전체 수출 증가세 유지, 일반기계·자동차 수출은 둔화 지속
Ÿ 반도체(+34.0%)는 연말 IT기기 수요 증가, 데이터 센터 투자를 위한 HBM·DDR5 등 고용량·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수요 확대 등의
영향으로 수출 증가세 지속
Ÿ 석유화학(+1.9%)은 유가 하락으로 달러기준 수출단가는 하락했으나, 설비 증설로 인한 생산 능력 증대로 수출물량이 늘어나
수출 소폭 상승
※ 화학제품 수출물가(2020=100, 달러기준) : 123.3(’24.7)→122.8(8)→120.4(9)→119.5(10)→118.5(11)→118.5(12)
Ÿ 일반기계(△11.6%)는 글로벌 건설 업황 둔화 영향으로 감소세 지속
Ÿ 자동차(△4.8%)는 하이브리드 차량 수출 증가세는 계속 유지되고 있으나, 생산시설 안전 점검 및 부품공장 피해 등 동절기
일부 생산 차질 영향으로 수출 감소 지속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