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도 국내 블루테크 인재 양성을 위한 전략 프로젝트 기획안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60 | |
---|---|---|---|---|---|---|
용량 | 5.41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5.4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6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66 |
제1절 배경 및 필요성
□ 해양수산업은 「①사회구조 변화, ②디지털기술 부상, ③지구환경변화, ④세계질서 변화, ⑤위험 일상화」 등
대내외 요인 변화 속에서 새로운 도약을 위한 체질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
ㅇ (사회구조 변화) 고령화·어업 인구감소로 인한 해양수산 분야 생산성 감소가 예상되나, 해양바이오 산업의 급성장 전망
- (인구감소와 고령화) 인구감소와 어촌지역 고령화*로 인한 산업인력 감소, 생산성 감소는 해양수산 경기침체 유발과
산업소멸 위기감을 증폭
* 65세 이상 어가인구 비중 : (‘18) 11.7만명/36.3% → ’(21) 9.4만 명/40.5% (‘21, 통계청)
- (바이오산업 성장) 바이오 혁신에 따른 삶의 변화는 해양생명 자원에 생명공학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활동을 하려는
해앙바이오 산업이 급성장 할 것 으로 전망
ㅇ (디지털 전환) 해양수산 분야에서 빅데이터, IoT, 블록체인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 증가
- (스마트 전환) 스마트항만 구축, 완전 자율운항선박(IMO Level 4 수준) 활용 등 디지털 스마트화 전환이 진행 중
- (디지털 가상세계) 접근·활용이 어려운 해양공간의 특성 상 현실 세계와 유사한 디지털 트윈 기술이 부상
ㅇ (지구환경변화) 인류와 국가의 생존을 위협하는 해양 기후환경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해양쓰레기의 영향은
기후변화만큼 심각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