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른, 일상생활의 변화 및 딥페이크 대응점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장민환 | 조회수 | 73 | |
---|---|---|---|---|---|---|
용량 | 2.39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39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0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3 |
AI 일상화 시대의 위협, 딥페이크 대응 방안
1. 딥페이크의 개요
AI 일상화 시대의 도래
○ 2016년 3월, 구글 딥마인드 사의 바둑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AlphaGo)와 한국 바둑 프로 기사인 이세돌 9단과의
바둑 대국을 계기로 대중의 AI 인지도는 높아졌으나 실제 AI를 접해 본 대중은 극소수
- 그간 대부분의 AI는 특정 분야에서 활용되는 고가의 솔루션으로서 주로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제한적인 기술 도구의 형태를 취함에
따라 일반인들이 AI를 접할 기회는 부족
○ 2022년 11월, ChatGPT의 등장으로 AI 기술의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하며 AI가 일상생활에 적용되기 시작
- AI는 전문가만의 도구가 아닌, 일상생활에서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범용 기술·서비스로 진화
○ ‘AI 일상화 시대’는 AI 기술이 일상생활 곳곳에 깊숙이 스며들어 널리 사용되는 시대를 의미
-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처럼 일반인 누구나 쉽고, 저렴하게 AI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AI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일하는 방식, 산업,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혁신적 변화를 촉발
※ 글로벌 컨설팅기업 베인앤컴퍼니(2023.10)는 제조·의료·금융 등 전 분야에 생성형 AI가 적용됨으로써 창출되는 경제효과는
오는 2026년 기준 총 31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
○ AI가 널리 사용되는 AI 일상화 시대를 맞이하며 AI의 다양한 긍정적·부정적 영향력 증가
- 의료, 금융, 교통, 제조, 교육, 안전, 농수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적용함에 따라 업무 효율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국민 삶의 편의 제고
- 알고리즘 편향, 인권 침해, 안전사고, 사생활 침해, 기술 오·남용, 일자리 위기 등 다양한 사회 문제 야기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