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국내 수출기업의 기업 환경 현황과 시사점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장민환 | 조회수 | 68 | |
---|---|---|---|---|---|---|
용량 | 1.14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1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0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1 |
수출기업의 2025년 경영환경 전망
우리 수출기업이 바라본 2025년 경영환경은 지난해 대비 소폭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응답 기업의 48.6%는 경영환경이 2024년과 유사할 것으로 기대하는 가운데 37.3%는 악화 우려를 드러냈다.
국내외 투자는 2024년과 유사하겠으나, 투자 축소를 계획하는 기업이 확대 예정인 기업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대외 리스크로는 세계경제 둔화·트럼프 당선에 따른 美 보호무역주의 강화·환율 변동성 등이 지적됐다.
대미 통상환경 변화에 대해, 특히 무역법을 기반으로 한 美 수출입 규제 확대에 대한 우려가 두드러졌다.
반면 보편관세는 대미 수출에 큰 타격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우세했다.
2025년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환율 안정, 물류 지원등 정책 수요가 큰 분야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고
산업별 애로사항에 대한 맞춤형 대응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2025년 대내외 수출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 시행(총 1,010개 응답)
∙ (기업규모별) 대기업 75개사(7.4%), 중견기업 265개사(26.3%), 중소기업 669개사(66.3%) 응답
2. 경영환경 전망 및 투자계획
(경영환경) 2025년 불확실성이 증대되며 전반적 경영환경은 2024년 대비 소폭 악화될 것으로 조사
∙ 48.6%의 응답 기업은 2024년과 유사한 수준을 기대하였으나 응답층의 37.3%는
2025년 경영환경이 전년 대비 악화될 것으로 전망
- 전년 대비 개선을 기대하는 응답은 14.2% 수준에 그쳐 경영환경 악화 우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기업규모별) 경영환경 악화 응답이 대기업(45.3%), 중소기업(38.4%), 중견기업(32.1%) 순으로 높았음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