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미국, 인공지능 발전이 인력개발에 미치는 영향과 전망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66 | |
---|---|---|---|---|---|---|
용량 | 248.75K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48.75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0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 |
AI와 인력 개발의 미래 (美 CSET, 12⽉)
미국 안보신기술센터(CSET)가 인력 개발 환경의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 근로자 대비 측면에서 커뮤니티 컬리지,
대안적 경력 개발 경로, AI 기반 교육 솔루션의 역할을 고찰
- AI가 범용 기술로서 다양한 산업과 직무를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되면서 다각적인 인력 개발 접근방식의 필요성이 부각
과거 기술 변화가 주로 블루칼라 근로자의 일자리 대체와 임금 압박, 화이트칼라 근로자의 생산성과 임금 향상으로 이어진 반면,
AI의 영향은 지식 근로자, 고등 교육 이수 근로자를 포함한 모든 직업에 보다 광범위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 최근 연구에 따르면, 대규모 언어 모델의 영향을 받는 업무가 최소 1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 근로자는 최대 80%에
이르고, 업무의 50%가 영향 받을 가능성이 있는 근로자는 약 19% 수준인 것으로 추정
- 이러한 변화의 성격은 두 가지 요인, 즉 OEAI가 해당 직업의 핵심 업무를 수행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는 정도
AI의 인간 근로자 대체/보완 가능 여부에 따라 상이
- 회계·감사·법무 등 AI 노출도가 높으면서도 보완성은 낮은 직업이 가장 큰 혼란에 빠질 수 있는 만큼 포괄적인 재교육과 업스킬링이
필요한데, 이는 기술적 스킬(technical skills)의 수명이 평균 5년을 하회한다는 점에서 특히 중요
미래 인력 수요 분석 결과, ‘기술적 스킬’이 스킬 수요의 약 27%를 점유하는 등 그 중요성이 유지되지만 핵심 스킬의 대부분은
‘⾮기술 스킬’이 차지하게 될 전망
- 성장 직종에 필요한 스킬의 약 58%를 ▲(기초 스킬) 수학, 능동 학습 ▲(사회 스킬) 사회적 지각력, 협상력 ▲(사고력)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 등이 점유할 것으로 예상
- 이는 우수한 대인 관계 스킬과 분석 역량을 유지하면서도 기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인력 개발의 중요성을 반영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