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글로벌 주요국들의 우주산업 기술 현황과 운영현황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70 | |
---|---|---|---|---|---|---|
용량 | 1.6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2-0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69 |
세계 우주항(Spaceport) 운영 현황
ㅇ 세계 첫 번째 위성인 ‘스프트니크 1호’가 1957년 바이코노루 우주항(Space port)에서 발사 이후
현재 전 세계 27개의 우주항에서 발사가 이뤄졌음
- 최근 10년간의 발사에는 22개의 우주항에서 발사가 이뤄지고 있으며1), 현재도 새로운 우주항이 계획되고 건설이 진행 중
ㅇ 우주발사체의 발사에는 기본적으로 지상 발사는 물론 공중발사, 해상 발사도 함께 포함
- 또한 탑재되는 우주물체의 궤도에 따라 지구 저궤도, 중궤도, 정지궤도 기타 궤도 등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음
ㅇ 우주항(Space port)은 여러 요건과 이유로 건설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지리적 위치와 요건
-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항은 인구가 많은 미국 동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에는 카리브해의 섬 나라들이 위치해 있어, 이를 피해 허용하는 발사 방위각은 35°에서 120° 사이임
- 이에 반해 서부의 반덴버그 우주항은 158°~201° 사이의 발사 방위각을 갖고 있음
국가별 우주항(Spaceport) 운영 현황
1 미국
□ 개요
ㅇ 미국의 대표적인 우주항은 美공군이 운영하는 케이프 커내버럴과 케네디 우주센터로 제45 우주비행단과 NASA가 관리
ㅇ 이 두 곳은 플로리다에서 인도양까지 10,000 마일 이상 뻗어있는 우주항으로 1958년 미국 최초의 인공위성을 발사한 이래로
궤도 발사를 지원해 오고 있음
ㅇ 2024년 4월 기준으로 18개의 FAA 또는 연방정부의 허가를 받은 우주항이 있으며 블루오리진과 스페이스X社가 운영하고 있는
민간 우주항도 있음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