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인공지능 시장의 주요 트렌드와 시장 기회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84 | |
---|---|---|---|---|---|---|
용량 | 18.88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8.88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3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24 |
□ AI의 급속한 성장 배경
◦ IoT 기기, 소셜미디어, 디지털 서비스 등의 확산으로 글로벌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는 AI 기술의 성장을 견인
*글로벌 데이터량(제타바이트(≒1012 기가바이트)) : ’10년2 → ’25년 181, CAGR 35%
◦ 고성능 컴퓨팅의 발전, 인프라 고도화 등 기술적 요인과 고령화와 산업 자동화 필요성 증대 등 사회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프로세서·분산 컴퓨팅·클라우드 인프라 발전, 숙련 인력 부족과 자동화 필요 등
□ 세계 시장과 주요 트렌드
◦ 세계 AI 시장은 연평균 20~30%대의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30년까지 1조 USD를 웃도는 시장으로 성장 전망
*투자액도 지속 증가 중으로, ’23년 투자액 1,892억 USD, 10년 평균 29.1% 증가
◦ 특히 생성형 AI로 인한 혁신적 변화는 기존 AI의 경제적 영향을 최대 40% 증가, 4조 USD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
*생성형 AI의 시장 규모는 연평균 43%씩 증가하여 ’30년 2천억 USD로 전망
◦ 미국, 중국, 싱가포르, 영국 등이 AI 기술 선도 상위 국가로 선정되었으나, 1위인 미국과 타 국가 간의 격차는 큰 편
*한국은 사업환경과 정부 정책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며 상위권(6위)에 등재
□ 유망 수출 분야와 시장 기회
◦ AI 생태계는 기술·인프라(1차), 효율성 향상(2차), 서비스 강화(3차), 산업 혁신(4차)으로 구분되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수출 기회가 존재
◦ 1차 생태계에서는 데이터센터 장비, 사이버 보안, 에너지 저장 시스템, 초고압·광섬유 케이블, 전선 장비, 5G 네트워크 장비 등이
유망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대규모 데이터센터 투자 가속화로 관련 장비 수요 급증
** 캐나다, 멕시코, 독일, 영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UAE, 인도 등
◦ 2차 생태계의 경우 공급망 최적화 도구, 산업용 로봇, 스마트 그리드, 자동화 소프트웨어 등에서의 수요 증가
*인력 부족 문제와 생산성 향상 요구 증가로 로봇과 자동화 솔루션 도입이 확대
** 미국, 멕시코, 브라질, 독일, 벨기에, 영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인도 등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