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의 행정정책을 통한 이차전지의 변화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78
용량 331.39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의 행정정책을 통한 이차전지의 변화 분석.pdf 331.3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5-01-3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이차전지(Underweight)


트럼프 취임 후 행정명령 관련 영향 분석

 

트럼프 대통령 전기차/친환경 관련 행정명령 발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1일차인 1월 20일(현지시간) 약 42개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임기를 시작했다.

당사는 42개의 행정명령 중 이차전지 업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기차 관련 행정명령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 트럼프 정부의 주요 행정명령 내용
 

1. 바이든 정부 시절의 행정 명령 철폐
 

트럼프 대통령은 공식 취임 직후 행정명령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에서 서명한 전기차 관련 행정명령을 일시에 폐지하였다.

여기에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기조였던 “EV Mandate(전기차 의무화)”의 근거가 되는 행정명령 14037호가 포함된다.

지난 2021년 8월, 바이든 행정부에 의해 발표된 14037호 행정명령은 ‘청정 차량 및 트럭 분야에 대한 미국의 리더십 강화’에 대한 것으로 2030년까지 무배출 차량(ZEV) 신차 비중 50% 달성, 2) EPA(미 환경보호청)의 MY27 차량부터의 신규 배출 기준 수립,

NHTSA(미도로교통안전국)의 MY27 차량부터의 신규 연비 기준 수립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EPA와 NHTSA는 해당 행정명령에 근거해 트럼프 1기 시절보다 엄격한 탄소 배출 및 연비 기준을 설정해 전기차 전환 및 수요 촉진을 유도한 바 있다<그림4>.


2. 미국 에너지의 해방(Unleashing American Energy)
 

① 주(State) 배출 면제 종료: 해당 행정명령 제2조에서는 CARB(캘리포니아 대기자원위원회)의 자체 배출 규정과 같은 주

정부의 규제 재량권을 폐지하였다.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청정 대기법에 근거해 연방기관의 배출 규제 기준을 준수하지 않고 별도의
배출규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면제(waiver) 권한을 부여 받아왔다.

CARB의 배출 기준은 일반적으로 EPA의 기준보다 엄격하게 설정되어 왔으며, 주요 주들은 EPA 대신 CARB의 배출 기준을 채택해 전기차 침투율 확대를 유도해왔다[그림5].


② 구매 보조금 폐지 검토: 또한 전기차 외 차량 구매를 제한하는 불공정한 보조금 및 정부 주도 시장 왜곡을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지시하였다. 해당 조항에 대한 우려는 IRA 법안에 기초한 청정차량 세액공제(IRS Sec. 30D)가 이에 해당하는 지에 대한
부분이다. 현재 미국에서는 핵심광물 및 배터리 부품 적격 비율을 준수하는 적격 전기차에 한해 구매 시 최대 $7,500의 세액 공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③ IRA 관련 자금 집행 중단: 동 행정명령 제7조 ‘그린 뉴딜의 종료’에서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및 IIJA(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법)

에 따라 책정된 자금 집행의 중단을 명령하고 있다. 해당 조항에서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관련 자금 집행을 명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단서 조항을 붙였다. 이러한 자금 집행은 보조금, 대출, 계약,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방식이 검토될 수 있다. 이는 조문 해석에 따라 IRA 관련 자금 집행 범위에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Sec. 45X)도 포함될 가능성을 내포한다고 볼 수도 있다(계속).

 

 

 

 

 

 

 

 

 

 

---------------------------------------------------------------------------------------------------------------------------------------------------------

 

 

 

 

 

 

 

32111.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09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인공지능 시장의 주요 트렌드와 시장 기회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의 행정정책을 통한 이차전지의 변화 분석 5도토리 강정훈
809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국내, 디지털 전환 교육정책 추친현황 및 개발 동향 13도토리 강정훈
809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의 연설 주내용 분석 3도토리 강정훈
809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 관련 정책 및 연구 현황 5도토리 강정훈
80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 감축을 위한 농업 서비스 전략방안 9도토리 강정훈
80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 및 해운 산업의 24년 행보와 25년 현황 및 전망 7도토리 강정훈
80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인공지능 산업의 변화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 13도토리 강정훈
80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글로벌 경제 현황과 산업 실태 분석 5도토리 강정훈
809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국내외 공간 전사체 연구 현황과 전망 5도토리 강정훈
80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한국 초고령 사회에서의 고령층 디지털 이용현황 9도토리 강정훈
80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양자과학기술의 현황과 지원현황 5도토리 국준아
80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5년 국내외 정보통신기술의 현황과 이슈 분석 9도토리 국준아
80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4년 국내, 전자정부 이용현황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0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변화에 따른 농업 구조 전환의 방향 및 정책 현황 분석 13도토리 국준아
808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첨단산업의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국준아
808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글로벌, 산업기술의 현황과 동향 분석 7도토리 국준아
808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미국 소비자협회 무역박람회의 산업 기술 트렌드 현황 11도토리 국준아
808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5년 디지털 전환 사회에서의 기업 글로벌 확대방안 7도토리 정한솔
80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쟁구조를 통한 중국 시장 진출 전략 분석 3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