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국내, 디지털 전환 교육정책 추친현황 및 개발 동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66 | |
---|---|---|---|---|---|---|
용량 | 16.96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6.9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3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74 |
1. 학습데이터 사전 개발의 배경, 필요성 및 목적
(배경) 정부는 학생 맞춤형 교육 실현을 위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을 비롯하여 에듀테크 진흥 방안 등 다각도로 교육 분야의
디지털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필요성) 교육 분야의 에듀테크 간 상호운용성 확대를 위해 필요한 학습데이터 분류 및 처리 방식에 대한 표준이 없어,
데이터 생태계 조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학습데이터에 대한 표준화 추진이 필요함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교육 분야 학습데이터 사전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으로 다음 4개의 주요 과제를 수행하였음.
이를 통해 교수·학습 과정에서 발생하는 학습데이터의 연계·공유·활용을 활성화하고 공교육 중심의 에듀테크 개발 및 성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2. 연구내용
1) 학습데이터 수집 및 활용 방향 설계
⑴ 환경 분석, 선행 연구 등 분석
디지털 교육 혁신과 국내외 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관한 정책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활동 전반의 학습데이터가
표준화된 형식으로 수집 및 관리되어야 한다는 중요한 시사점을 얻음. 이와 더불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실감형 학습콘텐츠,
토의·토론 및 협력학습 활동, 성찰 활동, 그리고 학습성취에 관한 추가적인 학습데이터 수집의 필요성이 확인되었음.
이러한 종합적인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체계는 디지털 교육환경에서 학습자의 성과를 보다 정확히 분석하고, 교육 방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