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조선 및 해운 산업의 24년 행보와 25년 현황 및 전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77 | |
---|---|---|---|---|---|---|
용량 | 1.08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08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4 |
Ⅰ. 산업환경
1. 국제 유가 및 연료유 가격 동향
2024년 국제유가는 세계적인 경기불안과 수요부진으로 3분기 이후 하락추세로 반전되었고 4분기에는 다소의 등락을 보이며
약세를 유지함
Ÿ '24년 7월까지 지정학적 분쟁과 OPEC+의 감산 지속으로 배럴당 80달러대의 강세를 보인 후 8월부터 수요부진으로
하락추세가 나타남
Ÿ 4분기에는 미국의 재고 감소 등 부분적인 가격 상승요인이 있었으나, 중국의 경기부양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여
석유수요가 부진하였고 미 달러화 강세까지 나타나 대체로 약세가 지속되고 등락이 반복됨
‑ 월평균 현물가격 기준 브렌트유는 12월 평균 배럴당 73.1달러로 연중(1~12월) 5.4% 하락하였으며 4분기 중(10~12월) 0.4%
상승
‑ 두바이유는 12월 평균 75.9달러로 연중 5.3%, 4분기 중 0.4% 각각 하락
‑ WTI는 동월 평균 69.7달러로 연중 3.4 하락, 4분기 중 0.5% 상승 기록
Ÿ EIA Short Term Energy Outlook(‘24. 12월)은 '25년 평균 브렌트유 가격을 전년 대비 약 9% 낮은 73.6달러로 전망하였으며
지난 10월 전망치 대비 약 4달러 하향함
Ⅱ. 해운업 동향 및 전망
1. 벌크선 시장
2024년 벌크선 시황은 비교적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되나, 4분기 이후 철강재 감산등의 영향으로 연말로 가면서 운임지수가
BDI 1,000 이하의 부진한 수준까지 하락함
Ÿ ’24년 BDI의 평균치는 1,755로 전년 대비 27.3% 높은 수준이며 2,000선에는 미치지 못하나 비교적 양호한 시황을 나타냄
Ÿ ‘24년 중 국제 철강재 수요부진 등 근본적인 수요 약세 요인이 있었으나 1분기의 철광석 가격 폭락, 아시아의 여름 폭염에 의한
석탄발전 수요증가, 상반기 중 파나마운하 정상화 지연 등 일시적 호재 요인이 겹치며 비교적 양호한 시황을 유지함
Ÿ 그러나 국제적으로 철강생산 감산이 지속되어 수요부진 영향이 누적되고 하반기에 파나마운하의 기능이 상당 부분 회복되며
연말로 갈수록 운임지수가 하락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