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국내외 글로벌 경제 현황과 산업 실태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68 | |
---|---|---|---|---|---|---|
용량 | 1.01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0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0 |
세계 경제동향
주요국 경제동향 : 미국을 제외한 주요국 경기둔화 지속
미국 ) 산업생산 , 고용 및 소비자물가 안정세 등으로 미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지연 가능성 제기
12 월 산업생산 2 개월 연속 전월 대비 상승 (+ 소매판매 전월 대비 증가율은 0.4% 로 전월 (+ 대비 소폭 하락
12 월 비농업부문 취업자 증가폭 (+25.6 만명 은 전월 ((+22.7 만명 대비 확대 , 실업률 ( 도 전월 ( 대비 하락
12 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년동월 대비 은 + 로 3 개월 연속 상승폭 확대 , 근원물가 상승률 (+ 은 전월 (+ 대비 하락
중국 ) 4 분기 경제성장률 5.4% 기록 2024 년 연간 경제성장률도 5.0% 로 목표치 달성
12 월 산업생산 증가율 전년동기 대비 + 전월 (+ 대비 상승 , 소매판매 증가율 (+ 도 전월 3.0%) 대비 상승
12 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0.1%) 이 9 월 이후 4 개월 연속 하락하며 경기 둔화 심화 및 디플레이션 우려 확대
12 월 수출 증가율 전년동기 대비 + 은 전월 (+ 대비 큰 폭으로 증가
유로존 ) 산업생산 및 소비 부진 속 소비자 물가는 상승세
11 월 산업생산 (+ 은 전월과 동일한 수준 유지 , 11 월 소매판매 전월 대비 0.1% 증가 , 12 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4% 기록
일본 ) 반도체 제조장비 및 자동차 등 산업 부진 , 소비자물가 큰 폭으로 상승
11 월 산업생산 전월 대비 2.2% 감소 , 소매판매 전월 대비 1.8% 증가 , 11 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기 대비 2.9% 상승
국내 경제동향
산업활동 : 11 월 광공업 · 서비스업 생산 감소 , 경기 선행종합지수는 전월 대비 소폭 상승
생산 ) 11 월 전산업생산은 광공업 , 서비스업 등에서 모두 줄어 전월 대비 0.4% 감소
광공업 : △ 0.7%0.7%) 반도체 (+ 등에서 늘었으나 , 자동차 △ 5.4%), 전자부품 △ 4.7%) 등에서 감소
서비스업 : △ 0.2% 정보통신 ((+3.2 %) 등에서 늘었으나 , 금융 · 보험 △ 2.9 %), 수도 · 하수 · 폐기물처리 △ 5.7 %) 등에서 감소
경기 ) 11 월 경기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 는 재고순환지표 , 코스피 등은 하락했으나 , 건설수주액 , 기계류 내수출하지수 등이
상승해 전월 대비 0.1p 상승 기준치 100)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