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국내외 공간 전사체 연구 현황과 전망 |
---|
분류 | 생명공학/바이오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64 | |
---|---|---|---|---|---|---|
용량 | 1.43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4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5 |
공간전사체란?
○ 분자생물학과 공간정보를 결합하여, 실제 조직의 구조와 가깝게 입체적으로 유전자의 발현을 연구하는 기술임.
조직 내에서 각 유전자가 발현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세포들이 주변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전자의 발현이 변화하는 양상을 이해할 수 있음.
○ 공간전사체 분석 기술은 그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크게 시퀀싱 기반 공간전사체
(Sequencing-based Spatial transcriptomics)와 imaging 기반 공간전사체 기술 (Imaging-based Spatial transcriptomics)이
사용되고 있음.
왜 주목받고 있나?
○ 세포종들은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는지에 따라 나뉘게 됨. 전사체는 기능을 담당하는 최종산물인 단백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전사체를 분석하여 특정 세포가 어떠한 세포종인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조직을 단일세포로 분리하여 전사체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음.
조직 내에 어떤 종류의 세포가 존재하며 어떤 기능을 하는지 구별할 수 있었지만 실제 조직 내에서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음
○ 공간전사체 분석은 전사체 기반 세포종 분류 이후 세포들이 특정 조직 내에서 공간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분포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고, 세포종들의 위치를 통해 어떤 세포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음.
암과 종양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발생학(developmental biology), 혹은 뇌 관련 연구 분야에서
세포 간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공간 전사체 분석의 활용도가 높음.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