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한국 초고령 사회에서의 고령층 디지털 이용현황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82 | |
---|---|---|---|---|---|---|
용량 | 1.04MB | 필요한 K-데이터 | 9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0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45 |
01 들어가며
서울시는 2026년 65세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1)로 진입하며, 55세 이상 인구가 서울 전체 인구의 약 22.1%2)를
차지하고 있음. 특히, 고령층은 디지털 기기 및 서비스 이용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이는 정보 접근의 한계와 사회적 배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
디지털 기술이 일상생활과 사회 전반에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은 단순 기술적 역량을 넘어
디지털 소양과 안전, 정보 이해 능력 등 종합적 역량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음
이러한 배경에서 서울디지털재단은 2021년부터 격년으로 ‘서울시민 디지털역량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는 디지털 격차 해소와 디지털 포용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02 서울시 고령층 디지털 역량 현황과 변화
본 장에서는 서울시 고령층의 디지털 역량과 관련된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함. 디지털 환경을 구성하는 기기 보유 현황과
인터넷 이용 현황을 시작으로, 고령층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과 경험을 살펴보고, 디지털 기술을 통한 소통과 표현 등을
다룸으로써 자치구별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를 다양한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