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양자과학기술의 현황과 지원현황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72 | |
---|---|---|---|---|---|---|
용량 | 1.53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5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1 |
퀀텀 이니셔티브에서의 양자과학기술
○ 2024년 4월, 정부 관계부처에서는 합동으로 “양자과학기술 대도약, 디지털을 넘어 퀀텀의 시대로”란 부제로
“퀀텀 이니셔티브”를 발표함. 양자과학기술을 의료/바이오, 반도체, 교통-물류, 금융, ICT 등 미래 사회를 견인할 유망산업에 있어
경제, 사회, 안보, 기후 변화 등의 다양한 난제해결의 혁신적 변화를 이끌 게임 체인저로 정의함. 현재 지배적 기술이 없어
우리나라의 발달된 첨단 제조 및 IT 역량을 토대로 국가전략에 따라 미래 기술로서 선점 가능하다고 보았으며,
퀀텀 컴퓨팅, 퀀텀통신(네트워크), 퀀텀센싱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음.
○ 중첩, 얽힘, 복제불가, 불확정성이란 양자물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기술보다 초고속 연산, 초신뢰보안, 초정밀 계측에 있어
향후 10년 전후로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이보다 앞서 22년10월에는 12대 국가전략기술의 하나로 “양자”기술을 지정하였고,
23년10월에는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까지 함으로써 축적된
ICT 및 기초과학 역량을 키우고 9대 중점기술으로 구체화 하였음.
○ 9대 중점기술은 퀀텀 프로세서, 퀀텀 알고리즘 및 SW, 퀀텀 네트워크, 퀀텀센싱을 퀀텀 코어기술로,
퀀텀 소재/부품/장비, 퀀텀 소자/공정, 디지털-퀀텀 하이브리드를 퀀텀 엔지니어링으로, 퀀텀 킬러 애플리케이션,
퀀텀 AI를 퀀텀 활용 및 서비스 관점에서 분류하고 있음.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