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스마트 수송 산업의 현황과 전망점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69 | |
---|---|---|---|---|---|---|
용량 | 1.7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1.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5 |
1) 시장의 개요
수송(Transportation)이란 사람이나 물건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스마트 수송은 도로, 철도, 항공 및 해상 등 모든 수송 과정에서 ICT를 도입해 최적 이동 경로 및 요금 정보 제공, 호출 및 결제 서비스 등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마트 수송 관련 시장은 인구의 도시 집중으로 유발되는 교통 혼잡, 대규모 탄소 배출, 교통 사고, 막대한 에너지 및 연료의 소비와 같은 문제의 해결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세계 각국이 추진하는 친환경 정책은 스마트 수송 산업의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스마트 수송 시장의 밸류 체인은 하드웨어 공급자, 솔루션 및 서비스 공급자, 통합 시스템 및 플랫폼 공급자, 최종 사용자로 구성된다.
하드웨어 공급자는 카메라, 센서, 회로 기판, 신호 장비, 통신 등 스마트 수송 인프라를 위한 하드웨어를 공급하며, 솔루션 및
서비스 공급자는 스마트 티켓팅, 수요 예측 분석, 클라우드 적용, 스마트 교통 솔루션 등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2) 정책 및 규제 현황
전 세계적으로 교통 혼잡 및 환경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고 있으며, 기존 도로 중심의 수송 서비스의 한계 극복을 위한
새로운 교통 체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지속 가능한 스마트 모빌리티 전략’ 발표를 통해 유럽의 대중 교통, 차량 등 모빌리티 서비스의 저탄소, 친환경화
의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였으며, 2050년까지 무공해 교통 수단의 상용화에 대한 점진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범유럽 철도 노선 확대를 통하여 국가간 이동시 철도 이용률을 높여 개인용 차량의 과다한 이용을 줄이고,
수로, 해로 등을 통한 운송 수단과 인프라를 확대해 운송 효율성 제고와 국가간 통합된 수송 인프라를 구축해 경제적
이고 접근성이 높은 수송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