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글로벌 주요국들의 로봇 산업 및 정책 동향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82 | |
---|---|---|---|---|---|---|
용량 | 2.58M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2.58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4 |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25년 휴머노이드 로봇산업 발전 동향 및 전망
중국 쳰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은 ’25년 휴머노이드 로봇산업 발전 동향을 전망한 청서
(2025年人形机器人产业发展蓝皮书)를 발표
-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휴머노이드 로봇산업의 고품질 발전 촉진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해 ’23년 11월 「휴머노이드 혁신 발전
지도의견(人形机器人创新发展指导意见)」을 발표
- 동 지도의견은 ’27년까지 휴머노이드 산업 발전을 가속화하여 응용 시나리오를 다양화하고 제품이 실물 경제의 각종 분야에
통합되어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 명시
-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24년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는 27억 6,000만 위안을 기록할 것으로 추산되며,
연평균 93.6%로 성장하여 ’29년 750억 위안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
* ’21년 이후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투·융자도 꾸준히 상승하여 ’23년 중국 휴머노이드 산업 투융자 건수는
총 30건(전년 동기 대비 200% 증가), 금액은 54억 1,000만 위안(전년 동기 대비 153.5% 증가)을 기록
日 경제산업연구소, AI·로봇의 거시경제적 효과 분석
일본 경제산업연구소(RIETI)가 인공지능(AI)·로봇을 업무에 활용하는 근로자의 특성과 활용 범위, 이러한 기술이 경제 전체의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AI·로봇 등 자동화 기술이 빠르게 보급되면서 경제 전반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으나
이러한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
- 자동화 기술 중 산업용 로봇과 관련해서는 국제로봇연맹(IFR)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시적 생산성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다수 존재
- AI의 경우 최근 일부 연구에서 특정 업무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실험을 통해 AI가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했으나, 거시경제적 효과를 추론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
* 이는 높은 측정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택시 운전, 고객 지원 업무, 글쓰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등 협소하게 정의된 업무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