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국내, 디지털크리에이터 산업의 현황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73 | |
---|---|---|---|---|---|---|
용량 | 7.82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7.82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2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12 |
1. 조사 배경 및 목적
✲ 최근 국내외 디지털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의 시장 규모가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산업 종사자의 제작환경 및 처우 등에 대한
구체적인 현황 파악의 필요성이 대두됨
✲ 국내 디지털크리에이터 활동현황 조사를 통해 공신력 있고, 객관적 통계자료를 확보하여 디지털크리에이터 미디어 산업에 대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함
2. 조사기간 및 조사기준시점
✲ 조사기간 : 2024년 9월 ~ 11월
✲ 조사기준 시점 : 2023년 12월 말
3. 조사범위 및 조사대상
✲ 디지털크리에이터 : 정보통신망을 통해 창의성 또는 전문성을 갖춘 부호·문자·도형·색채· 음성·음향·이미지 및 영상 등을
포함하는 동영상·멀티미디어 정보를 제작·유통을 통해 2023년 수익이 발생한 자
1. 플랫폼 이용 현황
1) 미디어(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고 있는 플랫폼
✲ 미디어(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하고 있는 플랫폼으로는 ‘유튜브’가 83.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인스타그램’(54.8%), ‘틱톡’(24.3%), ‘네이버TV’(10.9%) 등의 순으로 나타남
- [성별] ‘유튜브’의 경우 ‘남성’(86.3%)이 ‘여성’(79.7%)보다 높게 나타남
- [연령별] ‘50대 이상’에서 ‘유튜브’ 응답이 95.0%로 타 연령 대비 높게 나타남
- [구독자수] ‘10만명 이상’에서 ‘유튜브’ 응답이 98.8%로 가장 높게 나타남
- [미디어장르] ‘인스타그램’의 경우 ‘라이프스타일’이 66.6%로 타 장르 대비 높게 나타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