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대한민국, 지역별 산업 정책방향과 전망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80 | |
---|---|---|---|---|---|---|
용량 | 594.06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594.06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1 |
산업단지 개발 현황
□ 전국 산업단지 유형별 조성 현황
ㅇ 2024년 6월말 기준, 전국 산업단지는 총 1,315개 지정. 총 1,452,516천㎡ 면적 가운데 공급대상면적은 59.2%(860,365천㎡)
차지
ㅇ 단지 수 기준으로 일반단지(735개), 농공단지(483개)가 많지만, 지정 면적은 국가단지, 일반단지 순으로 넓으며,
단지 수 대비 지정면적은 농공단지(162천㎡)가 제일 작다. 전체 공급대상면적은 일반단지, 국가단지, 농공단지 순으로 규모가 크다.
□ 지역별 산업단지 개발 현황
ㅇ 단지 수로는 경상남도가 209개로 가장 많고, 경기도 196개, 충청남도 177개, 경상북도 154개 순
ㅇ 지정면적 기준으로 경기도가 251,785천㎡으로 가장 넓으며, 전라남도 229,613천㎡, 경상남도 140,335천㎡, 경상북도 139,086천㎡ 순으로 넓음 개발미대상 부지 면적*은 전라남도가 91,254천㎡로 가장 넓음.
ㅇ 시도별 산업단지 개발비율은 대구광역시가 98.9%로 가장 높고, 제주도(65.5%), 세종시(71.5%), 경기도(71.0%), 경상남도 (80.3%), 충청북도(81.5%), 등은 전국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남
ㅇ 개발비율이 낮은 산업단지는 최근 신규 산업단지로 지정된 지역이 많으며,
경기도(부천대장제1도시첨단산업단지, 부천대장제2도시첨단 산업단지, 평택첨단복합일반산업단지),
충청북도(청주에어로폴리스 3일반산업단지, 황간산업단지), 충청남도(논산국방국가산업단지, 선장그린컴플렉스일반산업단지)
등이 이에 해당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