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25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과 산업 개발 방향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정한솔 | 조회수 | 83 | |
---|---|---|---|---|---|---|
용량 | 908.49KB | 필요한 K-데이터 | 5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08.49K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21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18 |
Ⅰ. 트럼프 2기 대선 주요 공약 분석
보호무역(관세) - 대외 수입 의존 감소 및 일자리 창출 목표
트럼프 1기 추진사항 및 영향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로 2019년 이후 철강·알루미늄 수입 연간 20% 이상 감소1)
「미통상법」 301조 조치는 고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無, 산업 생산은 감소2)
- 전략적 생산량 감축, 대미 교역국의 보복관세를 원인으로 추측
바이든 정부에 대한 트럼프 진영의 평가
바이든의 무역정책으로 美 노동자의 실질임금 28개월 하락
- (진단) 2023년 무역적자는 1조 달러, 對中 무역적자는 3,830억 달러
트럼프 2기 주요 정책
「트럼프 상호무역법」을 통해 무역 상대국과 동일한 관세 부과3)
- 무역적자 감소 → 임금 상승 → 50만 개 이상의 제조업 일자리 창출
- 첨단기술분야 한국, 일본, 유럽 등 동맹 압박 예상
중국 최혜국 대우 박탈
- 미·중 무역량 감소로 미국 내 제조업 성장 유도
- 중국 제품 의존도 감소로 기업의 공급망 재편 및 생산 시설 美 유치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