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중국, 학술적 성장을 통한 영향의 변화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강정훈 | 조회수 | 70 | |
---|---|---|---|---|---|---|
용량 | 9.63MB | 필요한 K-데이터 | 9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 |
9.63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3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48 |
중국의 학술적 성과 제고에 대한 도전
1.1 중국의 학술적 성과에 대한 대외적 평가
최상위급 논문 출간에서 중국은 미국을 앞서 Super power로 불리우다
최근에는 질적인 수준도 패권을 다투고 있는 미국을 앞서기 시작함.
- ‘Nature’를 발간하는 Springer Nature는 2024년 6월에 최상위 학술지에 게재되는 과학 논문 수와 영향력 등을 바탕으로
국가별·기관별 순위를 나타낸 ‘2024 Nature Index’를 발표했는데, 중국은 종합 순위에서 처음으로 미국을 앞서서 최상위 국가가 됨 (곽수근, 2024).
- 중국과 미국에 이어서 독일(3위), 영국(4위), 일본(5위)이 상위권으로 나타났고, 우리나라는 2023년과 같은 8위에 자리했음
(곽수근, 2024).
- 이전에는 중국 과학 논문은 출간 편수만 많고 수준은 떨어지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는데, 최상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 ‘ 2024 Nature Index’에서 1위에 오르면서 인식이 변화가 필요해졌음(곽수근, 2024).
- 특히 기관 수준으로 살펴보아도, 중국과학원이 최고 연구기관을 차지한 것을 비롯해 최상위 대학·기관 10곳 중에서
7곳이 중국 기관으로 나타나서 개별 연구기관들의 경쟁력이 높은 것을 확인함(곽수근, 2024).
- 학술 정보 분석 기업인 클래리베이트(Clarivate)에 따르면, 2003년 미국의 상위 과학 논문 점유율이 중국의 20배에 달했는데
10년 후에는 그 차이가 4배로 줄었고, 2022년에는 중국의 상위 논문 점유율은 미국과 유럽연합(EU)을 합한 것보다 커졌음
(곽수근, 2024).
중국의 과학기술 동향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패러다임은 안보, 경제, 기술 혁신이 융합된 구조로 변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기술 자립, 글로벌 경쟁력 강화, 경제적 및 안보적 안정을 목표로 함.
- 중국은 건국 초기부터 과학기술이 경제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국가차원에서 과학기술 정책을 수립했으며,
1977년 개혁개방 이전까지는 국방과학기술에 집중하여 안보 중심의 정책이 대부분을 차지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